전랑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문무관의 인사행정을 담당하던 이조와 병조의 정5품관인 정랑(正郎)과 정6품관인 좌랑(佐郎)직의 통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무관의 인사행정을 담당하던 이조와 병조의 정5품관인 정랑(正郎)과 정6품관인 좌랑(佐郎)직의 통칭.
내용

무관보다는 문관의 인사권이 더 중시되었으므로 이조정랑이 특히 중시되었다. 전랑직은 태조 때는 정랑 · 고공정랑(考功正郎), 좌랑 · 고공좌랑으로 나뉘어 있었다. 태종 때 직제를 고쳐 정랑 · 좌랑을 각각 3원(員)씩으로 정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1741년(영조 17)에 전랑직의 권한을 약화시키고 정랑 · 좌랑의 정원을 각 2원으로 줄였다.

전랑직은 조선시대에 중요한 청요직(淸要職)이었다. 그러므로 전랑직은 홍문관 출신의 명망 있고 젊은 문신 중에서 선임되었다. 특히, 이조정랑은 문관 인사에서 정승이나 판서도 제재할 수 있을 정도로 권한이 컸다.

전랑은 각 부서 당하관(堂下官)의 천거, 홍문관 등 삼사 청요직의 선발[通淸權], 재야 인재의 추천[部薦權], 후임 전랑의 지명[薦代法] 등 여러 가지 특권을 갖고 있었다. 전랑직은 중죄가 아니면 탄핵받지 않았고, 순조로운 승진이 보장되어 공경(公卿)에 이르는 지름길이었다. 따라서 당상관도 길에서 전랑을 만나면 말에서 내려 인사했다.

이러한 전랑의 특권과 우대는 조선 관료제사회에서 대신의 권한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즉, 전랑은 삼사의 통청권을 쥐고 있었으므로 3사의 언론은 은연 중 전랑의 지휘를 받게 마련이었다. 따라서 삼사를 통하여 대신의 천권(擅權)을 견제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인사권과 언론권이 전랑에 집중되어, 전랑직을 누가 차지하느냐에 따라 권력의 향배가 결정되었다. 이에 전랑직을 둘러싼 쟁탈전이 당쟁을 격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폐단을 없애기 위하여 1685년(숙종 11)에는 「전랑천대법(銓郎薦代法)」을 폐지했다. 그리고, 1741년에는 전랑의 통청권을 제한하였다. 그리하여 전랑의 권한은 차츰 약화되고, 그에 비해 대신들의 천권은 강화되어 갔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대전통편(大典通編)』
『대전회통(大典會通)』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택리지(擇里志)』
「조선사림정치의 권력구조-전랑(銓郞)과 삼사(三司)를 중심으로-」(송찬식, 『경제사학』 2, 1978)
「16세기 낭관권(郎官權)의 성장과 붕당정치」(최이돈, 『규장각』 12, 1989)
「조선초기 육조전랑·좌랑(六曹銓郞·佐郞)의 관인적 지위-그 역관(役官)과 기능의 분석을 중심으로-」(한충희, 『한국학논집』 17, 1990)
「전랑(銓郞)과 삼사(三司)의 관계에서 본 16세기 권력구조」(김우기, 『역사교육』 13·14합집,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