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숙창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방수장군, 대장군, 상장군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34년(고종 21)
본관
횡성(橫城)
출생지
개성
주요 관직
방수장군|대장군|상장군
관련 사건
몽고 침입|필현보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후기 방수장군, 대장군, 상장군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개설

본관은 횡성(橫城: 지금의 강원도 횡성). 조영인(趙永仁)의 손자이고, 평장사 조충(趙冲)의 아들이다. 평장사 조계순(季珣)은 조숙창의 동생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31년(고종 18) 함신진(咸新鎭: 지금의 의주) 방수장군(防戍將軍)으로 몽고의 사르타이[撒禮塔]가 침입해오자 부사 전간(全幹: 全僩)과 함께 싸우지 않고 항복하고, 몽고군의 향도가 되어 삭주 선덕진(宣德鎭: 지금의 정평)도 항복하게 하였다. 조숙창은 예전 몽고군 카진[哈眞]과 형제맹약(兄弟盟約)을 체결한 조충의 아들임을 내세웠고, 몽고도 이를 선전하며 다른 성들의 항복을 권유하였다. 이후에도 조숙창은 계속 몽고군의 입장에 서서 그들이 최우 정권과 강화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교량 역할을 담당하였다.

몽고와 강화를 체결한 공으로 대장군(大將軍)에 승진되어 몽고에 가서 사신 저고여(著古與)의 살해사건을 밝히는 표문(表文)을 올렸다. 이듬해 상장군(上將軍)에 올라 시어사(侍御史) 설신(薛愼)과 함께 칭신(稱臣)하는 표문을 올렸다. 1234년(고종 21) 서경에서 발발한 필현보(畢賢甫)의 난에 연루되어 필현보와 더불어 죽음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몽고침입에 대한 최씨정권의 외교적 대응』(강재광, 경인문화사, 2011)
「몽고의 제1차 침공과 피함 북계 14대성의 항전」(강재광, 『한국사연구』146, 2009)
「고려 대몽항쟁기 강화론의 연구」(이익주, 『역사학보』151, 199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