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지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예빈윤, 한림직학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용연(龍涎)
묵헌(默軒)
시호
문인(文仁)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48년(고종 35)
사망 연도
1326년(충숙왕 13)
본관
여흥(驪興)
주요 저서
『묵헌집』
주요 작품
보각국사 비문
주요 관직
한림직학사|첨의정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민지(閔漬)는 고려 후기 예빈윤, 한림직학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고종대의 이규보, 원종대의 김구를 잇는 대표적 문장으로 평가되었다.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 『본국편년강목(本國編年綱目)』 등 42권의 저작이 있으나 전하지 않는다. 왕명으로 인각사의 보각국사(『삼국유사』의 일연) 비의 비문을 지었다.

정의
고려 후기, 예빈윤, 한림직학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사항

민지(閔漬)의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용연(龍涎), 호는 묵헌(默軒)이다. 평장사(平章事) 민영모(閔令謨)의 5대손이며, 아버지는 민휘(閔輝)이고, 어머니는 이세화(李世華)의 딸인 하원군대부인(河源郡 大夫人) 이씨이다. 광정대부첨의찬성사(匡靖大夫僉議贊成事) 신사전(申思佺)의 딸에게 장가들어 민상정(閔祥正)과 민상백(閔祥伯) 두 아들과 세 딸을 낳았다. 장녀는 나익희(羅益禧), 차녀는 김원상(金元祥), 3녀는 박윤류(朴允鏐)에게 시집을 보냈다.

주요 활동

1265년(원종 5) 17세 때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고, 1266년(원종 7) 19세 때 과거[春場]의 을과(乙科)에 장원 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으며, 1279년(충렬왕 5) 전중시사(殿中侍史)를 거쳐 예빈윤(禮賓尹)이 되었다.

충선왕이 세자였을 때인 1290년(충렬왕 16)에 정가신(鄭可臣)과 함께 세자를 따라 원나라에 가서 한림직학사(翰林直學士) 조열대부(朝列大夫)의 벼슬을 받았다. 1294년(충렬왕 20)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지공거(知貢擧) 안향(安珦)과 함께 과거를 주관하여 윤안비(尹安庇), 조연수(趙延壽), 이언충(李彦冲), 김광식(金光軾), 홍유(洪侑), 신천(辛蕆) 등을 선발하였다.

그 뒤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 첨광정원사(僉光政院事), 1325년(충숙왕 12)에 추성수정보리공신 삼중대광 첨의정승 우문관대제학 여흥군(推誠守正保理功臣三重大匡僉議政丞右文館大提學驪興君)에 제수되었고, 1326년(충숙왕 13)에 승진하여 판첨의부사(判僉議府事)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졌다.

1323년(충숙왕 10)에 가락군(駕洛君) 허유전(許有全) 등과 함께 원나라에 가서 충선왕의 환국(還國)을 청하는 표문(表文)을 지었다. 이 문장은 명문으로, 그 뜻이 간절하고 때로는 애통한 느낌을 들게 하였다. 그러나 심왕(瀋王) 무리의 간계(奸計)로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학문과 저술

민지는 정가신(鄭可臣)이 지은 『천추금경록(千秋今鏡錄)』 7권을 권보(權溥)와 증수하여 태조 왕건의 조상인 호경대왕(虎景大王)으로부터 원종까지의 역사를 7권으로 적고 세계도(世係圖)를 붙인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와 국조(國祖) 문덕대왕(文德大王, 호경)으로부터 고종까지의 역사를 정리한 『본국편년강목(本國編年綱目)』 42권을 편찬했으나 모두 전하지 않는다. 이제현(李齊賢)은 민지를 고종대의 이규보(李奎報), 원종대의 김구(金坵)를 잇는 대표적 문장으로 평가하였다. 1295년(충렬왕 21) 왕명으로 인각사(麟角寺)의 보각국사( 『삼국유사』의 일연) 비의 비문을 지었다. 그밖에도 「금강산유점사사적기(金剛山楡岾寺事蹟記)」, 「풍악산장안사사적기발(楓岳山長安寺事蹟記跋)」, 「보개산석대기(寶盖山石臺記)」 및 「오대산월정사사적(五臺山月精寺事蹟)」(1307), 「국청사금당주불석가여래사리영이기(國淸寺金堂主佛釋迦如來舍利靈異記)」(1315) 등을 썼다. 저서로는 『묵헌집(默軒集)』이 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문인공(文仁公)이며, 이제현(李齊賢)이 지은 묘지명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事節要)』
『고려묘지명집성(高麗墓誌銘集成)』
『졸고천백(拙藁千百)』

단행본

이수건, 『한국 중세 사회사 연구』(일조각, 1984)
박용운,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 연구』(일지사, 1990)
김광철, 『고려 후기 세족층 연구』(동아대출판부, 1991)

논문

민현구, 「민지와 이제현: 이제현 소찬 「민지 묘지명」의 소개 검토를 중심으로」(『두계이병도박사구순기념한국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7)
민현구, 「민지」(『한국사시민강좌』 19, 일조각, 1996)
변동명, 「정가신과 민지의 사서 편찬 활동과 그 경향」(『역사학보』 130, 역사학회, 1991)
이창국, 「원 간섭기 민지의 현실 인식: 불교 기록을 중심으로」(『민족문화논총』 24,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