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인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상장군으로 최충헌 형제 암살미수사건과 관련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96년(명종 26)
주요 관직
상장군
관련 사건
이의민 제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상장군으로 최충헌 형제 암살미수사건과 관련된 관리.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1196년(명종 26) 최충헌(崔忠獻)이 아우 최충수(崔忠粹)와 더불어 무신집권자 이의민(李義旼)을 제거하고 정권을 잡자 이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당시 상장군(上將軍)이었던 길인은 장군 유광(兪光)·박공습(朴公襲) 등과 더불어 친이의민세력(親李義旼勢力)이었다. 길인은 이의민정권의 잔존세력을 모아 최충헌·최충수 형제를 암살하려고 하였다.

길인은 장군 유광·박공습 등과 함께 금군(禁軍)·환관(宦官)·노예 등 약 1천여 명을 끌어 모아 수창궁(壽昌宮) 무기창고의 병장기를 나누어주었다. 그러면서 설유하기를, “지금 최충헌이 반란을 일으키고 무고한 사람들을 많이 죽이고 있으니 앞으로 화가 너희들에게 미칠 것이다. 각자는 힘을 다하여 큰 공을 세우라”라고 하였다. 길인의 무리는 궁문을 나서서 모래재[沙嶺]를 넘어 시가로 향하였다.

그러나 최충헌 등이 정예 군사를 내어 맞받아치자 길인의 무리는 산산이 흩어졌다. 급박해진 길인은 유광·박공습과 말을 달려 수창궁으로 들어가 궁문을 닫고 항거하였다. 최충헌이 군대를 인솔하여 궁궐을 포위하고 백존유(白存儒)가 화공(火攻)을 감행하려고 하자 길인은 궁궐 담을 넘어 도망쳤다. 최충헌의 군대가 궁궐로 진입하여 살육을 자행하자 유광과 박공습은 자살하였다. 이후 길인은 북산(北山)으로 도피하여 훗날을 도모하였으나 사태가 여의치 않자 머리를 깎고 승복(僧服)을 입은 후 벼랑 밑으로 떨어져 죽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의 무인정권』(김당택, 국학자료원, 1999)
「최충헌 정권 연구」(김대중, 서강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