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사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군무(軍務)로 지방에 출사할 때 3품직의 재신(宰臣)에게 붙이는 임시 관직.
목차
정의
조선시대 군무(軍務)로 지방에 출사할 때 3품직의 재신(宰臣)에게 붙이는 임시 관직.
내용

주임무는 적의 정세에 변화가 있을 때 그 사정을 살피는 것이었다. 대표적인 경우로 1601년(선조 34) 곽재우(郭再祐)와 1787년(정조 11) 원주에 파견된 이시수(李時秀) 등이 있다.

대개 지방관에 대한 적당한 인물의 추천이 비변사에서 행하여진다면 찰리사의 적당한 인물에 대한 추천은 선무사(宣撫使)·안핵사(按覈使)·위유사(慰諭使)·암행어사 등과 함께 의정부에서 주관하였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만기요람(萬機要覽)』
집필자
장필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