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성풀이 (풀이)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전북의 씻김굿 「칠성풀이」에서 연행하는 서사무가.
이칭
이칭
칠성굿 무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칠성풀이」는 전북의 씻김굿 「칠성풀이」에서 연행하는 서사무가이다. 현재까지 20여 편이 채록되었는데 충남 부여에서 채록된 1편 이외에 모두 전북에서 채록되었다. 「칠성풀이」는 전북의 세습무도 연행하지만, 앉은굿을 연행하는 독경무를 통해서도 전승된다. 가부장제를 바탕으로 전실 아들과 후실의 갈등이 중심이 되는 이야기이다. 전실 아들을 해하려는 후실의 음모가 실패하고 마침내 벌을 받는 내용이며 권선징악이 바탕이 된다. 「칠성풀이」는 자손의 장수와 복을 기원하는 굿거리이며, 애를 낳지 못하고 죽은 조상을 씻어 주는 기능도 한다.

정의
전북의 씻김굿 「칠성풀이」에서 연행하는 서사무가.
내용

「칠성풀이」는 전북의 씻김굿 「칠성풀이」에서 연행하는 서사무가이다. 현재까지 20여 편이 조사 채록되었는데, 충남 부여에서 채록된 1편을 제외하고 모두 전북에서 채록되었다. 부여가 행정 구역으로는 충청남도이지만 무당굿의 연행 방식은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의 굿과 유사하므로 「칠성풀이」의 전승 지역은 전북이라 할 수 있다. 이본의 명칭은 2편 만이 '칠성굿'이고 나머지는 모두 '칠성풀이'이다. 특이하게 「칠성풀이」는 호남의 세습무인 단골도 연행하지만 전북에서 앉은굿을 연행하는 독경무를 통해서도 전승된다. 현재 전북의 세습무는 모두 사라졌다.

줄거리

이본 간에 편차는 거의 없어 연행자에 따른 변이도 보이지 않는다. 줄거리를 단락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천하궁의 칠성님은 매화 부인에게 혼인을 신청하여 세 번만에 허락을 받는다.
  2. 칠성님과 매화 부인이 혼인을 한다.
  3. 자식이 없자 기자 치성을 드리고 신비한 태몽을 얻는다.
  4. 매화 부인이 잉태를 한다.
  5. 매화 부인이 한꺼번에 일곱 아들을 낳는다.
  6. 칠성님이 매화 부인을 소박 놓는다.
  7. 칠성님은 옥녀 부인에게 후실 장가를 간다.
  8. 매화 부인이 아이들을 버리려 하지만 하늘이 키우라고 알려 준다.
  9. 일곱 아들은 서당에서 글공부하나 아비 없는 자식이라고 놀림을 받는다.
  10. 일곱 아들은 아버지에 대해 묻고 아버지를 찾아간다.
  11. 매화 부인은 물에 빠져 죽는다.
  12. 일곱 아들은 칠성님을 만나 친자 확인을 한다.
  13. 칠성님은 일곱 아들을 교육시키며 옥녀 부인을 멀리한다.
  14. 옥녀 부인은 일곱 아들을 죽이려고 꾀병을 앓고 점쟁이[問卜者]를 매수한다.
  15. 점쟁이가 거짓 점괘를 말한다.
  16. 일곱 아들은 간을 내러 갔다가 금사슴의 도움으로 가짜 간을 주기로 한다.
  17. 칠성님이 옥녀 부인의 흉계를 알아차린다.
  18. 옥녀 부인이 잔치를 열 때 일곱 아들이 나타난다.
  19. 아이들을 본 옥녀 부인의 병이 재발한다.
  20. 일곱 아들과 옥녀 부인이 심판을 받기로 하고 옥녀 부인이 심판당한다.
  21. 옥녀 부인의 몸이 삼등분되어 짐승으로 변한다.
  22. 일곱 아들은 칠성님을 모시고 고향에 가 죽은 어머니를 살린다.
  23. 일곱 아들은 칠성으로 칠성님과 매화 부인은 견우와 직녀로 좌정한다.
의미와 기능

전북 씻김굿 「칠성풀이」는 칠성신을 청배하여 자손의 장수와 복을 기원하는 굿거리이다. 자식을 못 낳거나 자식 성장에 걱정이 있는 경우 또는 자식의 출세를 기원하는 이들은 칠성공을 많이 들였다. 그래서 정월에 단골을 집으로 초청하여 칠성경을 읽기도 했다. 굿을 의뢰한 신도의 조상 가운데 아이를 낳지 못하고 죽은 조상이 있으면 「칠성풀이」의 연행은 더욱 풍성해진다. 매화 부인이 아들 일곱을 낳은 대목에서 단골은 지푸라기 위에 미역국을 놓고 출산 장면을 재현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칠성풀이」가 단순하게 자식의 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넘어서 애를 낳지 못하고 죽은 조상의 한을 칠성님을 통해 풀어 주는 씻김의 의미까지 담고 있음이 보인다.

「칠성풀이」를 듣는 굿판의 사람들 중에 특히 자식을 낳은 여성들은 「칠성풀이」 무가를 잘 들으려고 집중한다. 대목 하나하나에 반응하면서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환호성을 지르기도 한다. 「칠성풀이」는 가부장제를 바탕으로 하며 전실 아들과 후실의 갈등을 주제로 한다. 또한 지상에서 천상으로, 다시 천상에서 지상으로 공간이 이동되며, 천하궁의 후실이 부정되고 지상계의 매화 부인이 긍정된다는 점에서 현세 중심주의가 보이기도 한다.

「칠성풀이」는 칠성신의 유래담이라고 볼 수 있는데, 왜 전북 지역에만 전승되고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독경무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 이유도 앞으로 규명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원전

김태곤, 『한국무가집』Ⅰ·Ⅱ·Ⅲ(원광대학교민속학연구소, 1971·1976·1978)
이영금, 『전북씻김굿』(민속원, 2007)
임석재, 『줄포무악』(문화재관리국, 1970)

단행본

이영금, 『호남 세습무 집단의 문화 영토』(민속원, 2019)

논문

김영희, 「무속신화 “칠성풀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심성연구』 30-2, 한국분석심리학회, 2015)
정제호, 「무속신화 <칠성풀이>의 변별적 성격과 주제의식」(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