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자루 끝 장식 (칼자루 끝 )

선사문화
개념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 거쳐 돌이나 청동으로 만든 것을 비파형동검이나 세형동검의 칼자루 끝에 장착한 장식.
이칭
이칭
검파두식(劍把頭飾), 가중기(加重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칼자루끝장식은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 거쳐 돌이나 청동으로 만든 것을 비파형동검이나 세형동검의 칼자루 끝에 장착한 장식이다. 동검의 찌르는 힘을 키우는 역할을 강조해서 가중기라고도 하며, 장식성을 강조해서 검파두식이라고도 한다. 요서 지역 비파형동검 문화에서는 베개 모양, 요동과 한반도 비파형동검 문화에서는 말발굽 모양이 유행하고, 한반도 세형동검 문화에는 기둥이 세워진 십자 모양이나 십자 모양이 많다.

정의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 거쳐 돌이나 청동으로 만든 것을 비파형동검이나 세형동검의 칼자루 끝에 장착한 장식.
개설

칼자루끝장식은 돌이나 청동으로 만든 것을 비파형동검이나 세형동검의 칼자루[劍柄] 끝에 장착한 장식이다. 동검의 균형을 유지해 찌르는 힘을 키우는 역할을 강조해서 가중기(加重器)라고도 하며, 장식성을 강조해서 검파두식(劍把頭飾)이라고도 한다. 이른 시기 칼자루끝장식은 주로 철광석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무겁지만 점차 돌이나 청동으로 만들어지면서 무게가 가벼워졌다.

칼자루끝장식은 형태가 다양해서 베개 모양[枕形], 산 모양[山形], 십자 모양[十字形], 기둥 모양[立柱形], 기둥이 세워진 십자 모양[立柱附十字形], 안테나식동검 모양[觸角式 또는 雙鳥形 觸角式], 버섯 모양[버섯形], 말발굽 모양[馬蹄形] 등이 있다. 돌로 만들어진 것이 많지만, 한반도에서는 청동제나 토제, 목제로 만든 것도 확인된다.

출토 현황

베개 모양은 조양 십이대영자(朝陽 十二臺營子) 유적에서 보는 것처럼 요서 지역에서 많이 확인되는데, 주로 무거운 철광석으로 만들어졌다. 요서 지역에서는 청동기시대인 비파형동검 문화 전기(서기전 9~8세기)부터 등장하며, 점차 요동과 한반도로도 확산된다. 요동과 한반도의 비파형동검 문화에서는 청동으로 만든 말발굽 모양이 확인된다. 청원 대호로구(淸原 大葫蘆溝) 돌널무덤[石棺墓], 요령 강상(崗上) 유적 돌무지무덤[積石墓]과 광주 역동 돌덧널무덤[石槨墓], 김해 연지 고인돌[支石墓] 등에서 출토되었다.

중국 내몽고자치구(內蒙古自治區) 영성현(寧城縣) 소흑석구(小黑石溝) 8501호 무덤에서는 칼몸과 칼자루는 물론 말발굽 모양 칼자루끝장식까지 한꺼번에 주조된 비파형동검이 출토되었다.

요서와 요동 지역에서 칼자루끝장식은 점차 베개 모양이나 베개 모양에서 파생된 요철 모양[凹槽形], 십자 모양 등으로 다양해지며, 세형동검 문화에서는 두 마리의 새가 부리를 마주하고 있는 쌍조형(雙鳥形)도 등장한다.

역사적 변천

한반도에서는 기둥 모양이나 기둥이 세워진 십자 모양이 특히 많다. 이른 시기에는 돌로 만들어진 것이 많지만 세형동검 문화가 발달하면서 청동으로 만든 기둥이 세워진 십자 모양이 많아지며, 무게도 가벼워지기 시작한다. 쌍조형 칼자루끝장식도 확인된다. 이처럼 칼자루끝장식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식이 존재하는데, 시기가 내려올수록 형태가 다양해지고, 재질은 석제에서 청동제로 바뀌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미야자토 오사무,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전개』(사회평론, 2010)

논문

김동일, 「한반도 출토 검파두식의 분류와 편년」(『영남고고학』 77, 영남고고학회, 2017)
김동일, 「중국 동북 지역 출토 검파두식 연구: 검파두식을 통해 본 비파형동검의 계통에 대하여」(『영남고고학』 71, 영남고고학회, 201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