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례문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후기, 조회와 국가 의례의 절차를 관장하던 관청.
제도/관청
설치 시기
1275년(충렬왕 1)|1308년(충렬왕 34)|충숙왕 대|1362년(공민왕 11)|1372년(공민왕 21)
폐지 시기
1298년(충렬왕 24)|1308년(충렬왕 34)|1356년(공민왕 5)|1369년(공민왕 18)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통례문은 고려 후기에 조회와 국가 의례의 절차를 관장하던 관청이다.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압박 속에서 고려 전기의 각문을 통례문으로 개편하였다. 외교 사신을 맞이하거나 노인이나 급제자에게 연회를 베푸는 공간이기도 하였다. 충렬왕 대는 각문의 직제를 계승하였으나 충숙왕 이후에 직제가 새로 정비되었다.

정의
고려 후기, 조회와 국가 의례의 절차를 관장하던 관청.
설치 목적

고려 후기에 조회와 국가 의례의 절차를 관장할 목적으로 설치하였다.

기능과 역할

조회나 국왕이 참석하는 국가 의례의 절차를 보좌하는 기능을 하였다. 조회를 비롯한 원구 · 태묘의 친사의(親祀儀), 북조의 조사(詔使)를 맞이하는 의식, 태후 · 왕비 · 왕태자를 책봉하는 의식 등 다양한 의례에서 참석한 관료들을 인도하거나 의례 절차를 이끌거나 왕에게 아뢰는 기능과 역할을 하였다. 외교 사신을 맞이하거나 노인이나 급제자에게 연회를 베푸는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변천 사항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압박 속에서 고려 전기의 각문(閣門)을 통례문으로 개편하였다. 충선왕이 1298년(충렬왕 24)에 개혁 정치의 일환으로 각문으로 복구하였으나 퇴위하면서 통례문으로 다시 고쳤다. 1308년(충렬왕 34)에 중문(中門)으로 개편하였으나 이후 충숙왕이 통례문으로 다시 고쳤다. 1356년(공민왕 5)에 각문으로, 1362년에 통례문으로, 1369년에 각문으로, 1372년에 통례문으로 각각 고쳤다.

소속 관원은 분명하지 않으나 충렬왕 대 통례문은 관부의 명칭만 달랐을 뿐 고려 전기의 직제를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각문에는 판사(判事 정3품) · 지사(知事 겸관) · (使 정5품) · 인진사(引進使 정5품) · 인진부사(引進副使 종5품) · 각문부사(閣門副使 정6품) · 통사사인(通事舍人 정7품) · 지후(祗候 정7품) · 권지지후(權知祗候)가 있었다.

충선왕이 설치한 중문의 영향을 받아 충숙왕 이후에는 대체로 판사(정3품) · 지사(종3품) · 부사(정4품) · 판관(判官 정5품) · 사인(舍人 종6품) · 지후(종6품) 등이 설치 운영되었다. 전기에 이속으로 승지(承旨) 4명, 청두(聽頭) 20명, 기관(記官) 1명을 두었으나 통례문으로 개편된 이후는 분명하지 않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창현, 『고려 개경의 편제와 궁궐』(경인문화사, 2011)

논문

김보광, 「고려전기 각문의 역할과 국가의례상 의미」(『동방학지』 18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