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천유고 ()

한천유고
한천유고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시인, 정민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시인, 정민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9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739년(영조 15) 정민교의 문인 오도옥(吳道鈺)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저자의 부인 변씨가 저자의 형 정내교(鄭來僑)에게 유고수습(遺稿收拾)을 부탁한 지 7년 만에 이루어진 것이다. 권두에 오원(吳瑗)의 서문이, 권말에 조현명(趙顯命)과 정내교의 발문이 있는데, 모두 그들의 친필을 판각한 것이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권1에 시 282수, 권2에 서(序) 1편, 기(記) 1편, 논(論) 1편 등 문 3편이 실려 있고, 부록으로 정내교가 지은 「망제계통본말(亡弟季通本末)」과 조현명의 묘지명, 안중관(安重觀)의 묘표가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작품은 대부분이 시인데, 그 중 「군정탄(軍丁歎)」은 정민교의 대표작이라고 할 만하다. 이 시는 조선 후기의 문란했던 세제(稅制)인 군정 가운데 황구첨정(黃口簽丁)[^1]의 폐해를 사실적으로 그린 서사시로서 42행의 7언시이다. 내용은 작자가 우산(牛山)이라는 곳을 지나가다가 울고 있는 아낙네를 만나 사정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심경을 피력한 것이다.

여기에서 정민교는 첨정이란 군대를 충족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을 뿐이지, 백성에게 폐해를 끼치게 하고자 한 것은 아니라고 하여, 백성의 고통을 외면하는 현관을 준열히 꾸짖는다. 또한, 질병으로 백성들은 절반이나 죽었고 거기에다 백골징포는 더욱 혹독한 현 상태로 보아 이 법은 고쳐지지 않을 것 같으니, “일찌감치 죽어 버려 네 남편을 쫓아가는 것이 나을 것이다.”라고 그 아낙네에게 충고한다.

이러한 투의 작품은 어떤 시인의 사회 시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이는 정민교가 당시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정민교의 시는 ‘정진어신(情眞語新)’ · ‘사치섬일(思致贍逸)’이라는 평을 들었고, 조현명은 발문에서 “때때로 기갈운삽(氣竭韻澁)함이 보였으니 이것이 그가 35세로 요절하게 된 까닭”이라고 하였다. 정민교의 작품은 홍세태(洪世泰) · 조현명과 주2한 것이 많다.

권2의 문은 시인으로 활동하였던 정민교의 문재(文才)를 엿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며, 부록의 「망제계통본말」은 정민교의 짧은 생애를 가까이에서 보아온 형이 쓴 것이라는 점에서, 정민교의 인물됨과 가정사를 자세히 살필 수 있다.

참고문헌

『완암집(浣巖集)』
『유하집(柳下集)』
『귀록집(歸鹿集)』
『조선평민문학사(朝鮮平民文學史)』(구자균, 고려문화사, 1948)
주석
주1

젖먹이 어린애까지 군적에 올려 군포를 징수해 갔다는 관원의 횡포를 이름.

주2

시가를 서로 주고받으며 읊음.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