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훈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언관으로서 언론 활동을 펼치다가 화를 당한 문신 관료.
이칭
사고(師古), 학이(學而)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504년(연산군 10)
본관
청주(淸州)
주요 관직
사간원 정언
내용 요약

한훈은 조선 전기 언관으로 활동하다 화를 당한 문신 관료이다. 한확과 소혜왕후의 인척으로서 1494년(성종 25) 별시에 입격하였다. 연산군 즉위 후 사간원 정언에 제수된 뒤 언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무오사화 당시 소릉 복위를 논한 것이 문제가 되어 유배되었다.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사형된 뒤 부관참시되었다.

정의
조선 전기 언관으로서 언론 활동을 펼치다가 화를 당한 문신 관료.
가계 및 인적 사항

한훈(韓訓)의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고(師古) 또는 학이(學而)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영정(韓永矴)이며, 할아버지는 한전(韓磌), 아버지는 한충인(韓忠仁)이고, 어머니 안동김씨는 김중엄(金仲淹)의 딸이다. 한확의 딸이자 성종의 어머니인 소혜왕후가 한훈의 주1가 된다. 또한 연산군의 처남이자 중종의 장인이었던 신수근(愼守勤)은 그의 매형이다.

주요 활동

1486년(성종 17) 생원진사시에 입격한 뒤, 1494년(성종 25) 별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그로부터 몇 달 뒤 성종이 서거하고 연산군이 즉위하였다. 한훈은 사간원 정언에 제수되었다. 당시는 대간홍문관의 언론 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던 시기로서,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가 일어나기 전까지 삼사는 성종의 수륙재 거행 문제를 비롯해 폐비 윤씨의 신주와 사당을 건립하는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안건을 놓고 연산군과 극렬하게 충돌하였다.

한훈 역시 사간원홍문관의 일원으로서 언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한편, 1497년(연산군 3) 홍문관 부교리 직에 단독으로 주2된 일로 물의가 일기도 하였으나 연산군이 탄핵을 수용하지 않았다.

1498년 7월 무오사화가 일어났을 때 한훈이 김일손과 함께 주3 복위를 논한 것이 문제가 되었다. 이때 한훈은 도망을 갔다가 곧 붙잡혀 국문을 받은 뒤 이성(利城)으로 주4되었다. 그 뒤 1501년(연산군 7) 방면되었었는데, 이후의 행적은 분명하지가 않다.

그러다가 1504년 10월 갑자사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과거 언관 시절의 한훈의 발언이 문제가 있다고 하여 “부관참시하고 능지처참하는 형벌”이 추가로 내려진 기사가 확인된다. 갑자사화 과정에서 무오사화 이전 김일손 등과 소릉 복위 문제를 언급하였던 것이 문제가 되어 처형되었다가 이때 처벌이 가중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죄가 그의 부친에게까지 연좌되어 한훈의 부친 한충인까지 고초를 겪었는데, 한훈의 누이이자 신수근의 처인 한씨가 연좌된 아버지의 죗값을 속바치기를 청원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한충인은 결국 유배되었다가 추가로 형벌이 가중되어 주5에 처해졌다. 한훈은 주6 출신의 인사였지만, 문과에 급제한 뒤 주7에서 언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가 사화가 일어나면서 처벌된 인사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논문

한희숙, 「조선 초기 한확의 생애와 정치활동」(『한국인물사연구』 18, 한국인물사연구회, 2012)
한충희, 「朝鮮初期 淸州韓氏 永矴(~1417 이전, 知郡事贈領議政)系 家系硏究」(『계명사학』 6, 계명사학회, 1995)
주석
주1

아버지의 사촌인 여자 형제.    우리말샘

주2

삼망(三望)의 후보자로 추천하는 일.    바로가기

주3

문종의 비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능.

주4

벼슬아치에게 어느 곳을 지정하여 머물러 있게 하던 형벌.    우리말샘

주5

사형수의 목에 줄을 맨 뒤에 공중에 매달리게 하여 죽이는 형벌.    우리말샘

주6

임금과 성이 다르나 일가인 신하.    우리말샘

주7

조선의 관직 중 일부를 묶어서 말하는 것으로, 청렴해야 하는(淸) 중요한(要) 자리(職).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