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복단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1919년 11월 서울에서 조직되어 주로 경기도 수원에서 활동한 비밀결사.
단체
설립 시기
1919년 11월
설립자
김태원|안교일|김교선|신봉균|신상균|이정방|이득수|박태선 외
설립지
서울 종로|경기도 수원
전신
구국동지회
후신
구국민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혈복단(血復團)은 1919년 11월 서울에서 조직되어 주로 경기도 수원에서 활동한 비밀결사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 특파원 김태원(金泰源)이 조직하였으며, 독립운동 자금 모집과 민족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하였다. 혈복단의 주요 활동은 이득수(李得壽)와 박선태(朴善泰)가 조직한 경기도 수원지부에서 이루어졌다. 『독립신문』을 배포하고 대한적십자회(大韓赤十字會) 가입을 추진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목차
정의
1919년 11월 서울에서 조직되어 주로 경기도 수원에서 활동한 비밀결사.
변천 및 현황

3 · 1운동 이후인 1919년 11월 20일 대한민국임시정부 특파원 김태원과 대한독립애국단(大韓獨立愛國團)의 안교일(安敎一), 김교선(金敎善), 신봉균(申鳳均), 신상균(申相均), 이정방(李鼎邦) 등이 서울 종로5정목(鐘路5丁目) 김교선의 집에서 결성한 비밀결사이다. 혈복단은 독립운동 자금 모집과 민족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하였다.

혈복단은 경기도 수원에 지부를 두었다. 수원혈복단(水原血復團)은 이득수와 박선태가 중심이 되어 조직하였다. 수원혈복단은 3 · 1운동 이후 전국의 지방에서 조직된 최초의 학생 비밀결사로 상하이[上海] 임시정부를 지지하고 후원하는 단체였다.

1910년대에 조직된 구국동지회(救國同志會)를 계승한 혈복단은 임시정부의 기관지인 『독립신문』의 배포와 대한적십자회의 가입 등을 추진하였다. 또한 수원 지방에 있는 기타 청년단체들과도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활동하였다.

박선태와 이득수는 1920년 6월 7일 혈복단을 구국민단(救國民團)으로 개칭하고, 각각 단장과 부단장이 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박환, 「1920년대 초 수원지방의 비밀결사운동-혈복단과 구국민단을 중심으로-」(『경기사학』 2, 경기사학회, 1998)
장석흥, 「大韓獨立愛國團 硏究」(『한국독립운동사연구』 1,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7)
집필자
윤상원(전북대학교 역사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