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형방도백산(荊防導白散)이라고도 한다.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소양인 비수한표한병론(少陽人脾受寒表寒病論)에 이 처방에 관한 내용이 있다.
소양인은 표음(表陰)이 하강하지 못하고 배려간(背膂間)에 몰려 울체(鬱滯)되기 쉬우므로 여기에 외부로부터 한사(寒邪)가 침범하면 비수한표한병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표음이 울체된 것을 소양상풍증이라고 하고 이것이 심해지면 망음증이 된다.
이 처방은 이러한 병증에 사용하여 내려가지 못하는 표음을 하강시켜줌으로써 음양순환의 균형을 이루어 병증이 치료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처방의 구성은 생 지황(生地黃) 11.75g, 복령(茯苓) · 택사(澤瀉) 각 7.5g, 석고(石膏) · 지모(知母) · 강활(羌活) · 독활(獨活) · 형개(荊芥) · 방풍(防風)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으로는 소양인의 두통 · 표열실증(表熱實症) · 장감병(長感病)의 반표반리증(半表半裡症) · 해수 · 육울(六鬱) · 황달(黃疸) · 학질 · 습담(濕痰) · 주담(酒痰) · 비치(鼻痔) · 악조(惡阻) · 반장통(盤腸痛) · 신전(囟塡) 등이 있다.
군약(君藥)이 되는 생지황은 심(心)과 신(腎)에 들어가 사화청금(瀉火淸金)하는 작용이 있고, 지모는 윤신자음(潤腎滋陰)하면서 신의 사기(邪氣)를 사(瀉)하게 하여주며, 석고는 생지황의 보음사화(補陰瀉火)하는 작용을 돕는다.
여기에 청기(淸氣)를 상승시키는 택사, 패열(敗熱)을 소변으로 배설시키는 복령, 신과 방광의 사기를 승산(升散)시키는 강활 · 독활, 비(脾)와 폐(肺)의 사기를 발산시키는 형개 · 방풍 등이 보완됨으로써 진화(眞火)는 상승하고 표음의 울결은 풀리게 되어 음(陰)은 하강하고 양(陽)은 상승하는 정상적인 기혈의 순행을 되찾게 되는 것이다.
이 처방에 황련(黃連)과 과루인(瓜蔞仁)을 첨가하면 황련도백산(黃連導白散)이 되는데, 이 처방은 위열(胃熱)이나 이열(裡熱)로 대변이 불통하는 경우나 담궐(痰厥) · 치루(痔瘻) 등의 증세에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