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방사백산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양상풍증과 망음증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하는 처방. 형방도백산.
이칭
이칭
형방도백산(荊防導白散)
목차
정의
소양상풍증과 망음증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하는 처방. 형방도백산.
내용

일명 형방도백산(荊防導白散)이라고도 한다.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소양인 비수한표한병론(少陽人脾受寒表寒病論)에 이 처방에 관한 내용이 있다.

소양인은 표음(表陰)이 하강하지 못하고 주1에 몰려 주2되기 쉬우므로 여기에 외부로부터 한사(寒邪)가 침범하면 비수한표한병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표음이 울체된 것을 소양상풍증이라고 하고 이것이 심해지면 주3이 된다.

이 처방은 이러한 병증에 사용하여 내려가지 못하는 표음을 하강시켜줌으로써 음양순환의 균형을 이루어 병증이 치료되는 것으로 본 것이다. 처방의 구성은 생 지황(生地黃) 11.75g, 복령(茯苓) · 택사(澤瀉) 각 7.5g, 주4 · 지모(知母) · 강활(羌活) · 독활(獨活) · 형개(荊芥) · 방풍(防風)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으로는 소양인의 두통 · 표열실증(表熱實症) · 장감병(長感病)의 주5 · 주6 · 육울(六鬱) · 황달(黃疸) · 학질 · 주7 · 주8 · 주9 · 악조(惡阻) · 반장통(盤腸痛) · 신전(囟塡) 등이

군약(君藥)주10이 되는 생지황은 심(心)과 신(腎)에 들어가 사화청금(瀉火淸金)하는 작용이 있고, 지모는 주11하면서 신의 사기(邪氣)를 사(瀉)하게 하여주며, 석고는 생지황의 보음사화(補陰瀉火)하는 작용을 돕는다.

여기에 청기(淸氣)를 상승시키는 택사, 패열(敗熱)을 소변으로 배설시키는 복령, 신과 방광의 사기를 승산(升散)시키는 강활 · 독활, 비(脾)와 폐(肺)의 사기를 발산시키는 형개 · 방풍 등이 보완됨으로써 진화(眞火)는 상승하고 표음의 울결은 풀리게 되어 음(陰)은 하강하고 양(陽)은 상승하는 정상적인 기혈의 순행을 되찾게 되는 것이다.

이 처방에 황련(黃連)주12을 첨가하면 황련도백산(黃連導白散)이 되는데, 이 처방은 위열(胃熱)이나 이열(裡熱)로 대변이 불통하는 경우나 주13 · 주14 등의 증세에 사용한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사상처방집(東醫四象處方集)』(염태환, 행림서원, 1974)
『동의수세보원주석(東醫壽世保元註釋)』(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주석
주1

등뼈 사이

주2

공기 따위가 막히거나 가득 참. 우리말샘

주3

몸의 진액이 몹시 소모된 병. 열이 심하거나 땀을 지나치게 흘리거나 만성 소모성 질병을 앓을 때 생긴다. 우리말샘

주4

황산 칼슘의 이수화물(二水化物)로 이루어진 석회질 광물. 단사 정계에 속하며, 기둥 모양 또는 널조각 같은 모양의 결정을 이룬다. 흔히 무색이지만 불순물이 섞이어 회색, 황색, 붉은색을 띠기도 한다. 열을 가하여 소석고(燒石膏)를 만들어 도자기 제조용 원형으로 쓰거나 분필, 모형, 조각, 시멘트 따위의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5

병이 생긴 부위가 겉과 속의 중간에 있는 증상. 한열왕래가 일어나고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며 마음이 초조하고 메스꺼우며 식욕이 부진하고 목이 마른다. 우리말샘

주6

‘기침’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습기가 몸 안에 오래 머물러 있어서 생기는 담. 우리말샘

주8

담음의 하나. 술을 많이 마셔서 담이 생기고 구토가 나는 증상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9

콧구멍 속에 군살이 생겨 차츰 커지는 병. 군살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코가 막히고 콧물이 많이 나오며 냄새를 잘 맡지 못하고 머리가 아프다. 우리말샘

주10

한약 처방에서 가장 주가 되는 약.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숙지황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1

신장을 윤택케하고 음기를 보충함

주12

하눌타리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젖과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거나 종기를 가라앉히는 데 쓰인다. 우리말샘

주13

원기가 허약한 데다가 추운 기운을 받아서 생긴 담이 기혈의 순환을 막아서 생기는 병증. 팔다리가 싸늘해지며 맥박이 약해지고 마비, 현기증을 일으킨다. 우리말샘

주14

항문 또는 곧창자 부위에 고름집이 저절로 터지면서 샛길이 생기고, 고름 따위가 나오는 치질의 하나.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