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기법 ()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
공예
개념
동, 철 등의 금속에 선이나 홈을 파서 그 홈에 금, 은, 동, 주석 등의 다른 금속을 채워 넣는 장식기법. 상감기법.
이칭
이칭
상감기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입사기법은 동·철 등의 금속에 선이나 홈을 파서 그 홈에 금·은·동·주석 등의 다른 금속을 채워 넣는 장식 기법이다. 상감 기법이라고도 하는데 삼국시대부터 행해진 기법이다. 이 기법을 통하여 명문이나 문양을 새겼다. 삼국시대에는 용문·봉황문·연판문 등을, 고려 시대에는 여의두문·범자·인동당초문 등을 새겼다. 조선 시대에는 십장생, 수·복 등 장수를 빌거나 길상을 뜻하는 문양들이 주를 이룬다. 현재 통도사 향완·포류수금문정병 등 다수의 국보들이 남아 있다. 입사기술은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입사장에 의해 맥이 이어지고 있다.

정의
동, 철 등의 금속에 선이나 홈을 파서 그 홈에 금, 은, 동, 주석 등의 다른 금속을 채워 넣는 장식기법. 상감기법.
개설

상감 기법으로도 불리운다. 금속공예의 표면 장식 기법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금속공예 기법 중 우수한 예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향완인 표충사 항완에는 함은(含銀), 금산사 향완에는 입은(入銀), 납은(納銀), 백장사 향완과 동화사 향완에는 은사(銀絲), 그리고 건봉사 향완과 청곡사 향완은 입사(入絲)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장야서(掌冶署), 조선시대에는 경공장(京工匠)공조(工曹)상의원(尙衣院)에 속한 입사장들이 작업을 하였다.

연원 및 변천

금속 표면에 선이나 면으로 음각을 하고 그 선이나 면에 다른 금속을 넣고 정으로 두드려, 색채 대비로 문양을 표현하는 입사기법은 기원전 3000년경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출현하였으나, 근동에서는 사산조이란 왕조 이후인 이슬람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반면 동아시아에서는 동, 금, 은을 넣은 입사공예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청동기에 많이 나타난다. 중국에서 금착(金錯) 또는 착금(錯金)이라고 불리웠던 이 기법은 청동기 주조 시 미리 홈을 파서 금사를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선으로 입사기법이 이루어지다가 통일신라시대가 되면 얇은 판이 입사 재료로 사용된다. 현재 일본 이소노카미(石上) 신궁에서 소장한 칠지도백제 근초고왕 24년 즉 369년에 제작된 것으로, 입사기법을 볼 수 있는 가장 이른 예이다. 삼국시대에는 환두대도 등의 무구를 비롯하여 행엽 등의 마구에 주로 사용되었고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는 향완, 정병 등의 불교 관계 유물에 많이 나타난다. 조선시대에는 을 이용하여 사방으로 촘촘하게 쪼아 미세한 홈을 만들고, 그 안에 금은을 자유자재로 넣는 입사기법이 성행하여 다양한 문양이 장식되었다. 이 시기는 향완 등의 불교 관계 유물뿐 아니라 화로, 촛대, 담배함 등 일상 유물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내용

입사기법은 금속 표면을 장식하기 위한 기법인데, 이 기법을 통하여 명문이나 문양을 새기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삼국시대에는 용문, 봉황문, 연판문, 당초문, 귀갑문 등이 주를 이룬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기술의 진보를 천마, 서수문 등이 유려하게 표현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여의두문, 범자, 포류수금문, 연화당초문, 인동당초문 등이 구사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십장생, 귀면문, 칠보문, 수(壽) · 복(福) 등의 문자문 등 장수를 빌거나 길상을 뜻하는 문양들이 주를 이룬다.

의의와 평가

입사기법은 삼국시대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도 꾸준히 행해진 기법으로, 흥왕사명 향완, 통도사 향완, 포류수금문 정병 등 다수의 국보에 그 예들이 확인된다. 근동에서 기원하여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수용된 기법이나, 최고의 수준작들이 우리나라 입사장에 의해 제작된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입사기술은 1983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된 입사장 등으로 지금도 맥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국보 금속공예』(문화재청 동산문화재과, 2008)
『입사장: 중요무형문화재 제78호』(국립문화재연구소, 민속원, 2008)
『우리나라 금속공예의 정화』(이귀영, 국립중앙박물관·국립광주박물관, 1997)
「한국청동은입사향완의 연구」(김창균, 『불교미술』9, 동국대학교박물관, 1988)
「재명은입사향완의 신례」(문명대, 『고고미술』96, 한국미술사학회,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