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벌레

목차
관련 정보
동물
생물
대벌레목 대벌레과의 곤충.
이칭
이칭
죽절충
목차
정의
대벌레목 대벌레과의 곤충.
개설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하며, 일본과 열대 · 아열대 지역에 많은 종류들이 서식한다. 대벌레는 이름처럼 몸이 길쭉한 원통 모양으로 나뭇가지나 잎사귀를 닮은 제일 긴 곤충에 해당한다. 주1’의 대명사로 주변의 식물과 닮은 모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나무 마디와 같은 곤충이란 뜻으로 ‘죽절충(竹節蟲)’이라고도 불린다. 학명은 Ramulus mikado 이다.

생태

대벌레는 메뚜기 무리에서 갈라져 나온 분류군으로 주2을 한다. 몸길이는 70∼100㎜ 정도이다. 몸색깔은 녹색 또는 황갈색이다. 머리는 앞가슴보다 길고 앞쪽이 뚜렷하게 굵다. 암컷은 머리꼭대기에 1쌍의 가시가 있다. 실 모양의 더듬이는 매우 짧아서 앞다리 종아리마디의 절반 정도이다. 앞가슴은 작으나 너비보다 길고 가로홈과 세로홈이 뚜렷하다. 가운데가슴은 앞가슴의 약 5배나 길며 중앙의 세로로 융기한 선은 가늘고 뚜렷하다. 뒷가슴은 가운데가슴보다는 짧다. 날개가 없는 것도 있고 있는 것도 있지만, 날개가 크지 않아 날아오르지 못한다.

숲속의 나무나 풀에 서식하며 상수리나무, 참나무 등 활엽수 잎을 먹는다. 주3은 5∼10월에 걸쳐 출현한다. 연 1회 발생하며 7월부터 늦가을까지 땅 위에 산란한다. 행동은 매우 느리며 적의 습격을 받으면 다리를 떼어버리고 달아나거나 의사행동을 한다. 애벌레는 다리를 건드리면 쉽게 떨어지는데, 재생 능력이 있어 다리가 다시 생긴다. 앞다리를 앞으로 내밀어 더듬이처럼 보이기도 한다. 어떤 종류는 수컷이 없고 암컷만 있어서, 짝짓기를 하지 않고 암컷 스스로 주4을 하여 식물의 씨와 닮은 알을 낳는다. 알 상태로 겨울을 나며 3∼4월까지 부화하여 6월 하순에 성충이 된다. 유충들은 탈피를 하며 허물을 벗은 후 그 허물을 먹어버린다. 약충과 성충이 집단적으로 잎을 먹어치워 경관을 저해하고 과실의 생장을 느리게 한다.

현황

경기도농업기술원은 곤충 산업화 사업의 하나로 대벌레 대량사육 기술을 개발해 농가에 보급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강원도와 경기도 등에서 대벌레가 대량 발생해 산림 인근 농가 농작물이나 과수 등의 피해와 함께 참나무 · 박달나무 · 싸리나무 등 활엽수의 생장을 저해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참고문헌

『국가생물종목록』(환경부, 2020)
『곤충개념도감』(자연과생태 편집부, 필통, 2009)
『이야기곤충도감』(김성수 외, 교학사, 2009)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www.nibr.go.kr/species)
주석
주1

어떤 모양이나 동작을 본떠서 흉내 냄. 우리말샘

주2

곤충류 변태 형식의 하나. 알로부터 시작하여 성충이 되기까지 번데기의 시기를 거치지 않고 유충이 곧 성충으로 되는 변태를 이른다. 날개나 외부 생식기의 원기(原基)가 이미 유충기에 외부에 나타나고 탈피 때마다 성충 모양으로 가까워진다. 원시적 곤충류인 하루살이, 잠자리, 바퀴 따위에서 볼 수 있다. 우리말샘

주3

다 자라서 생식 능력이 있는 곤충. 우리말샘

주4

암컷 배우자가 수컷 배우자와 수정하지 아니하고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생식 방법. 진딧물과 같은 무척추동물에서뿐만 아니라 일부 어류, 양서류, 파충류도 이 방법으로 생식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명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