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혜여원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단체
1898년 평양에 첫 번째로 설립된 감리교 여성병원.
이칭
이칭
평양부인병원, 평양보구여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광혜여원은 1898년 평양에 첫 번째로 설립된 감리교 여성병원이다. 평양부인병원, 평양보구여관이라고도 한다. 1894년 선교사 홀이 청일전쟁 중에 사망하자 1897년 홀 부인은 선교사 홀을 기리는 ‘기홀병원’을 설립하였고, 아울러 1898년 홀 부인은 평양에 ‘광혜여원’을 열어 여성들을 위한 진료 활동을 개시하였다. 1923년 기홀연합병원과 광혜여원을 연합하여 평양연합기독병원이 되었다.

목차
정의
1898년 평양에 첫 번째로 설립된 감리교 여성병원.
연원 및 변천

평양의 의료선교는 미국 북감리회 선교사 홀(W. J. Hall) 부부에 의해 시작되었다. 평양 개척선교사 홀은 1892년 3월부터 평양을 수차례 방문하여 의료와 교육활동을 펼치며 선교 기반을 다졌고, 1894년 봄에 부인과 어린 아들을 평양으로 이주시켰다. 홀 부인(R. S. Hall)은 여성 의료사업을 시작했는데, 청일전쟁의 발발로 곧 중단되었고, 전쟁 중에서 남편을 잃었다. 남편이 죽자 홀 부인은 미국으로 돌아갔는데, 이때 홀 부부의 조수였던 김점동(세례명 박에스더) 부부가 동행하였다. 박에스더는 미국에서 의학공부를 마치고 한국인 최초의 여의사가 되었다.

홀 부인은 미국에 머무는 동안 친지, 동료, 독지가들의 협조를 얻어 남편을 기리는 병원의 설립을 추진하였고, 홀의 후임으로 평양에 부임한 폴웰(E. D. Follwell)에 의해 1897년 ‘기홀병원(記忽病院, The Hall Memorial Hospital)’이 설립되었다. 홀 부인은 어린 두 자녀를 데리고 다시 평양으로 돌아와 1898년 6월 18일 해외여선교부 건물 한 편에 ‘광혜여원(廣惠女院, Women's Hospital of Extended Grace)’이라는 이름을 걸고 여성들을 위한 진료활동을 개시하였다.

광혜여원 개원과 함께 홀 부인은 유복녀로 미국에서 태어나 평양 정착 과정에서 병사한 어린 딸을 기리며 ‘에디스 마가렛 어린이 병동(Edith Margaret Children Wards)’을 1899년 신축하였다. 이 병동에서는 어린이 진료사업과 함께 한국 최초의 맹인학교가 시작되었다. 홀 부인이 운영하는 광혜여원은 1900년 박에스더가 합류하자 의료사업과 함께 전도활동도 활발히 전개할 수 있었다. 박에스더는 광혜여원, 어린이 병원 그리고 한국 최초의 맹아학교 등을 돌보는 일은 물론이고 간호사 양성과 전도부인 교육을 체계화하는 일까지 담당하였다. 이렇게 과중한 업무로 박에스더는 결핵을 앓게 되었고 1910년 35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1903년에는 어린이 병동에 잇대어 광혜여원 2층 본관 건물을 신축하였는데, 1906년 화재로 모든 건물이 전소되었다. 광혜여원은 1908년 기홀병원 옆에 반지하가 있는 지상 2층의 붉은 벽돌 건물을 신축하였다.

커틀러(M. M. Cutler)는 1893년 내한하여 서울의 여성병원 보구여관(保救女館)의 책임자로 20년간 활동하다가 평양으로 부임하였는데, 홀 부인과 함께 한국인 여의사 양성반을 개설하여 한국 여성이 한국 여성을 치료하는 길을 열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었다. 1918년 커틀러는 자신의 한국 선교 25주년을 기념하여 답지하는 후원성금으로 독립병동을 신축하였는데, 1층은 결핵환자를 위하여, 2층은 일반 입원환자용으로 사용되었다. 홀 부인은 1922년 커틀러에게 광혜여원을 인계하고 서울로 옮겨왔다. 1919년 북장로회선교부가 운영하던 제중병원은 기홀병원에 합병되었고, 1923년에는 광혜여원도 기홀연합병원에 연합하여 평양연합기독병원(Pyengyang Union Christian Hospital)으로 운영되었다.

참고문헌

『닥터 홀의 조선회상』(셔우드 홀 지음, 김동열 옮김, 좋은 씨앗, 2003)
『한국기독교의료사』(이만열, 아카넷, 2003)
“Medical Work in Pyeng Yang”(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Fifty Years of Light, Seoul: YMCA, 1938)
여성가족부 블로그(https://blog.naver.com/mogefkorea)
문화원형백과(https://terms.naver.com/)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