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통속연의 ()

고전산문
작품
명(明) 나관중(羅貫中)이 지은 소설 『삼국연의(三國演義)』의 번역본.
이칭
이칭
삼국지, 삼국연의, 삼국지전, 삼국대전, 정치기(鼎峙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명(明) 나관중(羅貫中)이 지은 소설 『삼국연의(三國演義)』의 번역본.
구성 및 형식

나관중이 쓴 원본은 발견되지 않았고, 가정 연간에 간행된 가정본(嘉靖本) 계통, 가정 연간 이후에 간행된 지전본(志傳本) 계통, 문인 모종강이 만든 모종강본(毛宗崗本) 계통이 있다. 세 계통은 장회(章回), 판의 형식, 자구(字句), 주(註), 삽입 시가, 관우(關羽)의 셋째 아들인 관색(關索)의 등장 여부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내용상의 차이는 별로 없다. 세 판본 중 가장 많은 인기를 얻은 것은 모종강본이다. 그 이유는 난삽한 장회를 120회로 정비하고, 권두사(卷頭辭), 협비(夾批), 총평 등을 대폭 가다듬었으며, 무엇보다 등장인물의 생동감, 이야기의 흥미의 제고, 촉한(蜀漢) 정통론과 존유폄조(尊劉貶曹) 등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삼국지통속연의』의 조선 전래 시기는 『조선왕조실록』 1569년(선조 2) 기사에 의거하여 16세기 무렵으로 여겨진다. 이후 이 소설은 금속활자본과 목판본으로 간행되었고, 한글로도 번역되어 필사본 · 세책본 · 방각본 · 활판본 등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어 읽혔다. 현재까지 확인된 『삼국지통속연의』의 이본은 200여 종이며, 일반필사본 · 세책본 · 방각본 · 활판본의 형태로,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려대학교 · 연세대학교 · 서울대학교 도서관,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각 이본은 『삼국지』 『삼국연의』 『삼국지전』 『삼국대전』 『정치기(鼎峙記)』 등으로 제명이 다양하며, 전체를 번역한 완역본에서부터 관우, 장비, 조자룡과 같이 특정 인물만을 따로 떼어낸 발췌번역본, 원본에 없는 새로운 번안본인 『적벽가(赤壁歌)』와 『화용도(華容道)』도 있다.

내용

후한(後漢) 말, 동탁(董卓)과 십상시(十常侍)들의 농간에 빠진 나라를 구하고, 한 왕실의 권위를 회복한다는 명분 아래, 유비(劉備), 손권(孫權), 조조(曹操)는 각각 위(魏), 촉(蜀), 오(吳) 삼국을 세우고 각축을 벌였다.

유비는 관우(關羽), 장비(張飛), 제갈량(諸葛亮), 조자룡(趙子龍) 등의 영웅들과 함께 천하를 통일하려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아울러 이들과 통일의 대업을 놓고 경쟁했던 손권과 조조 또한 꿈을 이루지 못했다. 대신 후대에 등장한 전략가 사마의(司馬懿) 집안에서 대업을 이루었다. 『삼국지통속연의』는 이러한 역사적 내용을 다루면서, 한편으로는 권력의 허망함, 인간사의 허무함을 보여 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삼국지통속연의』는 조선에서 상층 양반사대부에서부터 부녀자들, 평민들에게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얻었다. 그 이유는 조선의 통치 이념인 충효의(忠孝義)가 이 소설에 잘 형상화되어 있고, 영웅들의 성공과 좌절, 다양한 인물 군상의 생생한 삶의 모습을 담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삼국지』(박재연 외, 학고방, 2009)
『중국소설사의 이해』(한국중국소설학회 편, 학고방, 1994)
『중국고전소설총목제요』1-5(강소성사회과학원 편, 오순방 외 역, 울산대학교출판부, 1993)
「일본 동양문고 소장 세책 고소설의 성격과 의미」(유춘동, 『민족문화연구』64, 2014)
「부산광역시립 시민도서관 소장 삼국지연의의 연구」(유춘동, 『동양학』49,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