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용수사 대정3년명 금동 고 ( )

공예
작품
문화재
고려 전기 제작된 청동 쇠북[金鼓].
작품/조각·공예
창작 연도
1163년(의종 17)
소장처
용수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2001년 04월 30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도산면 용수길 284-29 (운곡리)
내용 요약

안동용수사대정삼년명금동고는 고려 전기 제작된 청동 쇠북[金鼓]이다. 경상북도 안동시 용수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1163년에 제작되었다. 앞뒤면이 모두 막히고 측면 아랫부분이 공명구를 이루는 형식을 따르고 있다. 내구와 중구에는 12엽과 18엽의 연화문을 새겼고, 외구에는 양각으로 "대정삼년명금동고"만을 명문으로 새긴 특징적인 금고이다.

정의
고려 전기 제작된 청동 쇠북[金鼓].
내용

안동 용수사에 소장되어 있는 청동으로 만든 쇠북[金鼓]으로 고려시대의 금고이다. 고려시대 금고는 3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뒷면의 전이 짧아 공명구가 큰 것이고, 두 번째는 전이 길어 공명구가 작은 것이며, 세 번째는 금고의 앞뒤면이 모두 막히고 밑면이 뚫린 것이 있다.

첫 번째 형식은 보통 반자(飯子)에 주로 보이는 형식이고, 두 번째 형식은 금고에 주로 보이는 형식이다. 세 번째 형식은 안동용수사대정삼년명금동고와 같은 것으로 경선사정우2년명금고와 일본 지은원 소장 지치 2년 약사사명 금고 등이 있고, 일본의 와니구치와도 상통하는 기형이다.

용수사 금고는 앞뒷면이 모두 막히고 측면 아래가 공명구를 이루는 형식이고, 외구에 양각으로 새겨진 명문을 통해 대정 3년인 1163년(의종 17)에 조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형태 및 특징

금고의 크기는 지름 31.3㎝, 두께 11.1㎝이다. 용수사 금고의 주1은 융기 동심원으로 당좌구를 비롯해 내구와 중구, 외구의 공간으로 구획하였다. 당좌구에는 1+12의 자방이 표현되어 있고, 내구와 중구에는 12엽과 18엽의 연화문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외구에는 "대정삼년명금동고(大定參年銘金銅鼓)"라는 8자의 명문이 2자씩 네 곳에 양각으로 새겨져 있으며, 글자와 글자 사이에 당초문이 표현되어 있다. 측면에는 정상부와 좌우 세 곳에 용가에 걸 수 있는 고리가 부착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안동 용수사 금고는 1163년에 조성한 고려시대 금고로 고면의 문양 표현은 일반적인 고려시대 금고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고면 외구에 양각으로 명문을 표현한 것은 용수사 금고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2001년 4월 30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최응천, 「고려시대 청동금고의 연구: 특히 주조방법과 명문분석을 중심으로」(『불교미술』 9, 동국대학교 박물관, 1988)
주석
주1

장구나 북에서, 손으로 치는 왼쪽 가죽면.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