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종 ()

공예
작품
국가유산
고려 후기 청동으로 제작한 소종.
이칭
이칭
공주 수연원 종(公州 修淵院 鍾)
작품/조각·공예
창작 연도
1278년 추정
소장처
호림박물관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동 종(靑銅 鐘)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7년 01월 1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신림동, 호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청동 종은 고려 후기 청동으로 제작한 소종이다.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공주 수연원에 봉안하기 위해 무인년 10월에 제작하였다. 고려 후기 범종의 양식적 특징인 천판 가장자리의 입상화문대를 갖추고 있으나 음통에는 보주 대신 연화문을 표현하였고, 용뉴의 용은 입에 여의주를 생략한 고려 후기 소종의 다양성을 알 수 있는 종이다.

정의
고려 후기 청동으로 제작한 소종.
제작 배경

고려 후기의 청동 소종으로 공주(公州) 수연원(修淵院)에 봉안하기 위해 무인년(戊寅年) 10월에 제작하였다.

내용

천판 가장자리의 입상화문대(立狀花文帶)는 각각의 입상화문을 오각형으로 표현하였고, 내부에는 가운데 둥근 장식과 그 위로 삼엽 형태의 장식이 있다.

입상화문대와 연결된 상대(上帶)는 당초문을 바탕 문양으로 하고 그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활짝 핀 연화문을 배치하였다. 몸체 상단에는 사다리꼴 모양의 연곽이 4곳에 배치되어 있는데, 연곽은 당초문으로 테두리를 장식하고, 연곽 내부에는 9개의 연뢰를 배치하였다.

몸체 중앙에서 약간 아래쪽에는 보살상과 당좌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보살상은 연곽과 겹쳐지지 않은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데, 두광이 표현되어 있으며, 머리에는 삼각형의 보관을 쓰고 양손은 합장을 하고 있다. 당좌는 활짝 핀 연꽃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각각의 연꽃은 잎이 날카롭고 잎맥이 표현되어 있다.

몸체 아래에는 2단의 하대가 배치되어 있다. 하대의 위쪽은 연당초문을 배치하였고, 아래쪽은 연주문을 배치하여 상대와는 다르게 표현하였다. 청동 종은 용의 머리 방향 아래로 당좌와 보살상 사이에 음각으로 7행 40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형태 및 특징

청동 종의 높이는 25㎝, 종구의 넓이는 15㎝이다. 천판 가장자리에 입상화문이 띠를 이루고 있는 고려시대 후기의 종이다. 편평한 천판 위에 음통과 정면을 바라보는 용이 배치되어 있다. 음통은 마디없이 끝부분에 보주만 장식되어 있고, 용은 입을 벌리고 정면을 바라보고 있으나 여의주는 생략되어 있다. 상대와 하대 사이에는 보살상과 당좌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호림박물관 청동 종은 공주 수연원에서 사용하기 위해 무인년 10월에 만든 고려 후기의 종으로 무게는 6근이다. 종의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무인년은 1278년(충렬왕 4)으로 추정되는 소종으로 고려 후기 소종의 다양성을 알 수 있는 종이다. 2007년 1월 11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염영하, 『한국의 종』(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논문

송민아, 「고려시대 범종 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웹페이지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