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원각사 고려시대 다라니 일괄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고려시대 인쇄된 다양한 형식의 다라니 모음.
이칭
이칭
진언
문헌/고서
간행 시기
고려시대
권책수
15종 37점
판본
목판본
소장처
대한불교조계종 원각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유산(2015년 3월 9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137-48(식사동) 대한불교조계종 원각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고양 원각사 고려시대 다라니 일괄은 고려시대 인쇄된 다양한 형식의 다라니 모음이다. 원각사(圓覺寺)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 다라니(陀羅尼) 일괄(一括)은 밀교(密敎)에 속하는 경(經) 또는 주문(呪文)이 인쇄된 다라니 15종 37점이다. 이 다라니들은 어느 한 장소에서 발견된 것이 아니고 소장자가 계속 수집한 것이다. 현재 고려시대의 다라니에 대한 연구자료나 실물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다라니들을 통해 고려시대의 다라니를 개략적이라도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유물이다.

정의
고려시대 인쇄된 다양한 형식의 다라니 모음.
서지사항

각종 다라니는 간행 시기, 크기, 구성이나 행자 수가 일정하지 않다. 1150년(고려 의종 4)에 간행된 『대비로자나성불경등 일대성교중 무상일승제경소설 일체비밀다라니(大毘盧遮那成佛經等 一代聖敎中 無上一乘諸經所說 一切一切秘密陀羅尼)』는 세로가 5.0㎝에 불과하고, 1152년(고려 의종 6)에 간행된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다라니(一切如來心秘密全身舍利寶篋陀羅尼)』는 세로와 가로 길이가 39.0㎝의 정방형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15종 37점의 다라니 중에서 간행 시기가 밝혀져 있는 다라니는 몇 점에 불과하다. 간기(刊記)가 남아 있는 다라니 중에서 시기가 가장 앞서는 것은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다라니』이다. 이 다라니의 아래에는 “범학대사 도휘서 해안사개판 시천덕사년 사월 일 기(梵學大師 道輝書 海晏寺開板 時天德四年 四月 日 記)”라는 간기가 있다. 그러므로 이 다라니는 범학대사 도휘가 해안사에서 1152년에 간행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간기가 결락된 『대비로자나성불경등 일대성교중 무상일승제경소설 일체비밀다라니』는 전 47장 중에서 3-22장의 20장만 남아 있다. 그런데 이와 동일한 다라니가 경상북도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安東 普光寺 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遺物)에서 발견되었다.

보광사 복장에서 발견된 다라니의 간기에는 “시세경오 육월복일 해동장안 광제포개판 인시…… 선사 사원 중교(時歲庚午 戮月卜日 海東長安 廣濟鋪開板 印施…… 禪師 思遠 重校)”라고 되어 있다. 원각사 소장의 다라니도 이와 동일하므로 평양 광제포에서 선사 사원이 거듭 교감하여 1150년 6월에 간행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성과 내용

다라니 15종 37점은 어느 한 장소에서 한꺼번에 발견된 것이 아니고 소장자가 계속 수집한 것이다. 그래서 국가유산의 가치가 돋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다라니를 열람하기 어려운 지금, 연구자나 열람자들이 한 번에 고려시대의 다라니를 살필 수 있다는 점에 가치를 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 다라니들은 사찰에서 불사를 할 때 찍어 전하는 것들로 대개는 불상에 납입되었던 것들이다.

다라니의 종류는 『대비로자나성불경등 일대성교중 무상일승제경소설 일체비밀다라니』 20점[9.7×28.8㎝],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다라니』 1점, 『대비로자나성불경등 일대성교중 무상일승제경소설 일체비밀다라니』 2점[19.5×49㎝], 『일체여래심비밀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一切如來心秘密全身舍利寶篋印陀羅尼)』 1점, 『대불정진언등 진언합부다라니(大佛頂眞言等 眞言合部陀羅尼)』 1점이 있다.

또한, 『전신사리보협인다라니(全身舍利寶篋印陀羅尼)』 1점, 『불정심관세음보살모다라니(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 2점, 『범자원상 금강계만다라(梵字圓相 金剛界曼茶羅)』 1점[38.2×40㎝] , 『아자범자원상태장계만다라(阿字梵字圓相胎藏界曼茶羅)』 1점, 『아미타삼존다라니(阿彌陀三尊陀羅尼)』 1점,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 2점[35.7×36.5㎝], 『대불정심주 등 다라니((大佛頂心呪 等 陀羅尼)』 1점, 『범자원상 금강계만다라』 1점[38×38㎝], 『금강계만다라』 1점[40.0×39.5㎝], 『금강계만다라』 1점[33.5×35.0㎝]이 있다.

의의 및 평가

이 다라니 15종 37점은 12~13세기경에 제작된 고려시대 다라니로 다양한 범자(梵字) 진언(眞言)이 수록되어 있다. 비록 간기가 누락된 것이 많으나, 다라니의 특성상 인쇄사에 있어 별도의 가치를 가지며, 또 밀교 신앙의 다양성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 3월 9일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원각사의 불교문헌』(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사업단, 2017)
경기도문화재연구원, 『경기도문화재총람: 도지정편 1』(경기도, 2017)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집필자
오용섭(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