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

불교
문헌
국가유산
조선 전기 전라도 고산의 화암사에서 간행한 불경.
이칭
약칭
장수경, 장수멸죄호제동자경, 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문헌/고서
간행 시기
1484년
권책수
1책
권수제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
판본
목판본
표제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
소장처
대한불교조계종 원각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유산(2009년 2월 9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137-48(식사동) 대한불교조계종 원각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은 조선 전기 전라도 고산의 화암사에서 간행한 불경이다. 이 불경은 죄악을 없애고, 장수멸죄(長壽滅罪)하는 방법과 악귀들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는 가르침에 대한 밀교(密敎) 계통의 경전이다. 합철된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부모의 은혜가 한량없이 크다는 내용으로 고려 말 이후 많이 간행된 경전이다.

정의
조선 전기 전라도 고산의 화암사에서 간행한 불경.
저자 및 편자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7세기 후반에 인도 승려 불타파리(佛陀波利), 곧 각호(覺護)가 번역한 경전이다.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중국 당나라 때 우리나라에 전래된 불경으로 위경(僞經)으로 알려져 있다.

서지사항

표지는 근자에 개장(改裝)되었으며, 새로 만든 제첨(題簽)에는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과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등 합철된 두 경명(經名)이 한자로 함께 적혀 있다.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43장,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22장으로 모두 65장이 1책으로 장책되어 있다.

제1~8장까지는 아랫부분이 손상되어 본문이 부분적으로 멸실되어 있다. 권말에는 대선사(大禪師) 혜희(惠熙), 대시주(大施主) 신자(信慈), 화주(化主) 학경(學冏) 등의 명단과 함께 “전라도불명산화암사개판(全羅道佛明山花岩寺開板)”, “성화이십년(成化二十年[1484]) 갑진유월일(甲辰月日誌)“이라는 간행 기록과 위태천(韋駄天) 변상(變相)이 있다.

합철된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의 권말에는 간행을 지원한 명단이 있는데,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을 간행할 때 화주를 맡았던 학경이 이 경(經)의 화주도 맡았다. 간행 시기에 대한 것으로는 “성화이십년갑진월(成化二十年甲辰月) 일지(日誌)”, “전라도고산토(全羅道高山土) 화암개판花岩開板)”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두 경은 거의 동시에 화암사에서 간행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합철된 부분의 누습(漏濕) 흔적과 지질로 보아 처음부터 두 경이 합철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편찬 및 간행 경위

화암사에서는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을 1443년( 세종 25)에 이어 1484년( 성종 15) 6월에 다시 간행하였다. 또한, 이보다 앞선 13~14세기의 간본(刊本)이 현전하는 것으로 보아 고려 말기부터 간행되던 불경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배경은 당시 밀교 계통의 민간 신앙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위경으로 알려진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부모의 은혜에 대한 가르침이므로 성리학의 이념과 일치되어 조선 후기까지 줄곧 간행되었다. 이 두 경은 합철되어 전하는 판본이 적지 않다.

구성과 내용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동자를 보호하여 죄를 없애고 장수에 대해 설법한 밀교 계통의 경전이다. 이 경을 독송(讀誦)함으로써 장수하고 악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구성은 내용에 따라 대문을 나누었는데,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은 다섯 가지 악업에 대해, 후반은 석가모니가 마지막 남은 자식이 죽음을 앞둔 여인을 위해 설법한 내용이다.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부모의 은혜를 회탐수호은(懷耽守護恩)부터 구경연민은(究竟憐愍恩)까지 10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조선 전기인 1484년에 전라도 고산(高山)화암사에서 간행된 두 종류의 불경을 합철한 고판본(古版本)이다. 두 종류의 불경을 함께 엮은 것은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도록 장수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또 부모의 은혜를 알리고자 한 것이다. 고려 말기 이후 대중화된 밀교의 민간 신앙을 살필 수 있다. 경기도 고양시 대한불교조계종 원각사(圓覺寺)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2월 9일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원각사의 불교문헌』(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사업단, 2017)
경기도문화재연구원, 『경기도 문화재 총람: 도지정편_1』(경기도, 2017)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heri/idx/index.do)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집필자
오용섭(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