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안심사판 제진언집 ( )

불교
문헌
문화재
조선 전기 전라도 동복의 안심사에서 간행한 불서.
이칭
약칭
진언집
문헌/고서
간행 시기
1569년
편저자
설은(雪訔)
권책수
1책
판본
목판본
표제
제진언집(諸眞言集)
소장처
고판화박물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강원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08년 5월 9일 지정)
소재지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물안길 62 고판화박물관
내용 요약

원주 고판화박물관 소장 안심사판 제진언집(原州 古版畵博物館 所藏 安心寺版 諸眞言集)은 조선 전기 전라도 동복의 안심사에서 간행한 불서이다. 이 불서(佛書)는 안심사에서 1569년(선조 2)에 간행된 판본이다. 변상도(變相圖), 원패도(願牌圖), 「불정심경(佛頂心經)」, 제진언집 목록, 언본(諺本), 실담장(悉曇章), 「진언집(眞言集)」, 발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 다라니(陀羅尼)를 한글, 한자, 범자(梵字)의 차례로 기록해 놓았다.

정의
조선 전기 전라도 동복의 안심사에서 간행한 불서.
저자 및 편자

권말에 있는 설은(雪訔)의 발문(跋文)에는 혜징(慧澄)과 인주(印珠) 등이 와서 “불정심(佛頂心) 및 제진언(諸眞言)은 성불(成佛)의 첩경이라며 간행하고자” 하므로 자신은 “일체 개인적인 의견은 없이 옛 법식 그대로 써서 간행하여 널리 베푼다.”고 하였다.

또한, 발문의 끝에도 “교정겸서 대선사 설은(校正兼書大禪師雪訔)”이라고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제진언집』은 당시 전하던 진언(眞言)들을 설은 대선사가 교정을 거쳐 직접 써서 완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서지사항

후대에 주1되면서 표제(表題)는 “제진언집(諸眞言集)”으로 주2되어 있다. 보통 의식집(儀式集)이나 진언류 불서 등은 사찰에서 이용이 활발한 까닭에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판본이 많으나, 이 책은 앞뒤의 손상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다.

권말 간기(刊記)의 “융경삼년기사중하 전라도동복지 무등산안심사 중간(隆慶三年己巳仲夏全羅道同卜地無等山安心寺重刊)”과 같이 이 책은 전라도 동복(同福: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의 안심사에서 1569년에 간행된 판본 1책이다.

작은 글자[小字]로 된 앞부분의 「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陀羅尼經)」과는 달리 「 진언집」의 판식(版式)은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半郭) 18.9×13.5㎝, 9행 16자, 내향2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이와 동일한 판본에 대해 소장기관에 따라서는 『불정심다라니경』 또는 『진언집』으로도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혼란은 이 판본의 편성 체재가 특이하고, 주3에 따라서는 주4 장이 있기 때문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진언을 익히는 것이 성불의 첩경으로 생각하는 승려와 당대 밀교(密敎) 신앙의 대중화 과정에서 편찬되었고, 이후 설악산 신흥사(新興寺)를 비롯한 전국의 사찰에서도 간행되었다.

구성과 내용

『제진언집』의 구성은 대개 변상도, 주5, 「불정심경」[불정심다라니경, 불정심요병구산방(佛頂心療病救産方), 불정심구난신험경(佛頂心救難神驗經)], 제진언집 목록, 언본, 주6, 「진언집」, 발문 등의 순으로 되어 있다.

이 중에서 중심이 되는 「진언집」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목록에는 결수문(結手文), 지반문(志磐文), 자기문(仔蘷文), 점안문(點眼文), 정본능엄주(正本楞嚴呪), 불정심관세음보살모다라니(佛頂心觀世音菩薩姥陀羅尼), 불정존승다라니(佛項尊勝陀羅尼), 약왕보살다라니(藥王菩薩陀羅尼), 용시보살다라니(勇施菩薩陀羅尼), 제경진언(諸經眞言) 등으로 소개해 놓았다.

여러 다라니를 한글, 한자, 범자의 차례로 기록해 놓았는데, 특히 언본은 『훈몽자회(訓蒙字會)』의 언문 자모와 유사하다. 이 판본은 이전의 진언집을 따랐으나 한글 음역만으로 되어 있던 불정존승다라니에 한자 음역을 덧붙였다는 점이 특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의의 및 평가

한글 자모의 용법이 소개된 언본 그리고 한글, 한자, 범자 순으로 기록해 놓은 여러 다라니는 16세기 국어학은 물론 언어학, 불교사까지 살필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강원도 원주시 고판화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5월 9일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고판화박물관(http://www.gopanhwa.com/museum)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snu.ac.kr)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heri/idx/index.do)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주석
주1

포장, 장식 따위를 고쳐 다시 꾸밈.    우리말샘

주2

먹물로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    우리말샘

주3

전하여 내려온 책    우리말샘

주4

있어야 할 부분이 빠져서 떨어져 나감.    우리말샘

주5

원패(願牌)를 부르는 용어로는 불패(佛牌), 위패(位牌), 전패(殿牌), 불명패(佛名牌) 등으로 다양한데, 이것은 외형에 의한 분류가 아니고 쓰임새에 따른 구분이다. 즉, 원패는 기원문을 적어두고 있으며, 불명패에는 부처님의 명호를 적어둔다. 위패는 돌아가신 분을 추모하고 추선(追善)하는 의미의 명패이며, 전패는 법당 안에 있는 명패를 말한다. 원패도(願牌圖)는 원패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이다.

주6

실담(悉曇) 문자(文字)의 모음과 자음의 표    우리말샘

집필자
오용섭(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