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암 선림보훈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525년(중종 20) 순천 모후산 대광사에서 간행한 목판을 후대에 찍어 만든 불교경전.
문헌/고서
간행 시기
1525년(중종 20)
저자
대혜 종고(大慧宗果)|죽암 사규(竹庵士珪)
편자
정선(淨善)
권책수
2권 1책
권수제
선림보훈(禪林寳訓)
판본
목판본
소장처
자비암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자비암 선림보훈(慈悲庵 禪林寶訓)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부산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15년 01월 28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자비암 선림보훈(慈悲庵 禪林寶訓) 1525년(중종 20) 순천 모후산 대광사에서 간행한 목판을 후대에 찍어 만든 불교경전이다. 이 불서는 송나라의 선승 대혜(大慧) 종고(宗杲)와 죽암(竹庵) 사규(士珪)가 선법을 닦는 학인들에게 귀감으로 삼을 수 있는 선사(禪師)들의 아름다운 말과 행동을 모아 처음 편집한 이후, 남송(南宋) 동오(東吳)의 사문(沙門) 정선(淨善)이 다시 편집한 선사들의 어록이다. 1525년 음력 4월 전라도 순천 모후산(母後山) 대광사(大光寺)에서 판각한 해당 목판을 후대에 찍어 만든 인출본(印出本)이다.

정의
1525년(중종 20) 순천 모후산 대광사에서 간행한 목판을 후대에 찍어 만든 불교경전.
저자 및 편자

남송 동오의 승려 지식인 정선이 다시 편집하였다.

서지사항

부산광역시 동래구 자비암 소장의 『선림보훈(禪林寶訓)』 2권 1책은 표지에 다섯 구멍을 뚫고 실로 꿰맨 오침안정법(五針眼訂法)의 선장본(線裝本) 흔적이 남아 있다. 표지 · 철사와 표지 제목이 없는 상태이다.

전체 크기는 가로 17.2㎝, 세로 28.5㎝이다. 표지 안의 본문 내용을 두른 테두리 안쪽의 반곽(半郭) 규격이 가로 12.7㎝, 세로 16.8㎝이다. 판식(版式)은 본문 밖의 네 부분이 한 줄의 검은 선으로 표시된 사주단변(四周團邊)이며, 개별 본문의 각 줄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선이 없는 무계(無界)이다.

개별 장은 가운데로 접는 판심(版心)의 형태이다. 판심에는 물고기 꼬리 모양으로 장식한 어미(魚尾)가 3개로 상 · 중의 어미가 아래 쪽으로 향하고, 아래의 어미가 위쪽으로 향하는 상중하향(上中下向) · 하상향흑어미(下上向黑魚尾)와 함께 2개의 어미가 아래 쪽으로 향하는 상하하향흑어미(上下下向黑魚尾)가 혼재되어 있다.

상 · 하의 어미 위아래에는 검은 선의 중흑구(中黑口)와 대흑구(大黑口)도 혼재되어 있다. 위의 어미 아래에는 판심제(版心題)와 권차가 표기되어 있으며, 중 · 하의 어미 사이와 아래 어미에는 장차(張次)가 새겨져 있다. 아래의 대흑구의 일부에는 각수(刻手)의 흔적을 나타내는 부호가 음각되어 있기도 하다.

특정의 개별 장을 가운데로 접은 반곽의 행자 수는 10행 20자이며, 일부의 내용에서는 2행의 작은 글자로 배열된 주쌍행(註雙行)의 형태도 확인된다.

권수제(卷首題) · 권미제(卷尾題)는 “선림보훈(禪林寳訓)”이며, 그 아래에는 권상(卷上)처럼 권 · 권차가 배열되어 있다. 권미제 다음 행의 저술 정보는 “동오사문 정선중집(東呉沙門 淨善重集)”이다. 판심제는 “훈(訓)”이며, 그 아래에는 상(上) 일(一)과 같이 권차 · 장차가 표기되어 있다. 권하 제43장의 뒷면에 있는 간행 정보 · 조직 등은 훼손 · 탈락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선림보훈』은 송나라의 선승(禪僧) 대혜 종고와 죽암 사규가 선법을 닦는 학인들에게 귀감으로 삼을 수 있는 선사(禪師)들의 아름다운 말과 행동을 모아 처음 편집한 이후, 남송의 승려 정선이 운문종(雲門宗) · 조동종(曹洞宗) · 임제종(臨濟宗) 등 34선사의 278편 어록으로 다시 정리하여 2권으로 편찬한 선종(禪宗)의 법어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378년( 우왕 4) 충주 청룡선사(靑龍禅寺)에서 목판으로 간행된 이후 조선시대에도 조성되었다. 자비암 소장의 『선림보훈』 2권 1책은 간행정보가 탈락되어 있으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과 비교하여 서지정보 및 변란(邊欄) 밖의 시주질(施主秩) 등과 동일하므로, 1525년( 중종 20) 음력 4월 전라도 순천 모후산의 대광사에서 판각한 해당 목판을 찍어 만든 인출본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목판의 조성사업에는 발원(發願), 시주질로 석진(釈真) · 경잠(敬岑) 등의 승려들을 비롯하여 임돌금양주(林乭金兩主) · 장돌동양주(張乭同兩主) 등의 세속인들이 함께 참여하였다. 이들 가운데 감덕(甘徳) · 석덕(石徳) · 고음미(古音未)는 살아있는 사람의 축원을 바라는 보체(保体), 박수(朴受)는 죽은 이의 넋을 기리는 영가(灵駕)를 각각 기원하였다.

해당 목판을 새긴 각수는 장수명(張夀命) · 도신(道信) · 계심(戒心)이, 시주(施主)를 권유하는 권화(勧化)는 정오(正悟)가, 공양주(供养主)는 경원(敬䏍) · 주인손(朱仁孫)이, 칠화주(漆化主)는 도명(道明)이, 화주(化主)는 옥계(玉戒)가 각각 분담하였다.

구성과 내용

자비암 소장의 『선림보훈』 2권 1책은 권수제― 저술정보― 권미제― 간행정보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지만, 간행정보는 탈락되어 있다. 또한, 좌우 변란의 밖에 신행(信行) · 학문(学文) · 의영(仅灵) · 도잠(道岑) · 수봉(守峯) 등의 시주질이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탈락된 간행정보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의 권하 제43장 뒷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가정사년을유맹하순천지모후산대광사개간(嘉靖四年乙酉孟夏順天地母後山大光寺開刋)”이라는 조성 시기 · 공간을 이어 발원자, 시주질, 발원 내용 및 각수, 권화, 공양주, 칠화주, 화주납(化主衲) 등의 간행조직이 각각 새겨져 있다.

의의 및 평가

자비암 소장의 『선림보훈』 2권 1책은 간행정보가 훼손 · 탈락되어 있다. 그러면서 중종 때 모후산 대광사의 존재 흔적과 함께 목판 조성 불사의 사례 · 조직체계, 불교 사상적 경향, 인적 연계망과 당대 활동 인물 등과 같은 역사 · 문화적 실체와 성격을 밝혀주는 원천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부산광역시 동래구 자비암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 1월 28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집필자
최영호(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