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나라 온릉(溫陵) 개원련사(開元蓮寺)의 승려 계환이 주해(註解), 저술하였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백운사(白雲寺) 소장의 『묘법연화경』 3권 1책은 전체 7권 가운데 권1∼3의 영본(零本)이며, 누른색 계열의 표지에 다섯 구멍을 뚫고 붉은 색 계열의 실로 꿰맨 오침안정법(五針眼訂法)의 선장본(線裝本)이다.
표지 · 철사 및 표지 제목은 후대 수리 · 개장(改裝)되었다. 전체 크기는 가로 16.2㎝×세로 27.7㎝이며, 본문 내용의 상하 부분에 있는 바깥 테두리의 광고(匡高) 규격이 세로 21.2㎝이다. 앞표지에는 닥종이에 '법화경상(法華经上)'으로 묵서(墨書)된 제첨(題簽)이 후대 수리 · 보완되어 있다.
판식(版式)은 본문 내용 밖의 상하 부분이 각각 한 줄의 검은 선으로 표시된 상하단변(上下單邊)이며, 개별 본문의 각 줄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선이 없는 무계(無界)이다. 개별 장을 가운데로 접는 판심(版心)의 형태이다. 판심에는 물고기 꼬리 모양으로 장식한 어미가 없는 무어미(無魚尾) 형태이며, 판심제(版心題)가 있다.
특정의 개별 장을 가운데로 접은 반곽(半郭)의 행자 수는 10행 20자이며, 요해서(要解序)는 8행 16자이다. 요해서의 제목은 “묘법연화경요해서(妙法蓮華經要解序)”이며, 서문 제목 다음에는 “전주복주상생선원사조사문 급남 찬(前住福州上生禪院嗣祖沙門 及南 撰)”이라는 작은 글자의 서문 저술 정보가 배열되어 있다.
권수제(卷首題) · 권미제(卷尾題)와 그 아래에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経)”과 “권제일(卷第一)”의 권(卷) · 제(第) · 권차(卷次)가 각각 표기되어 있으며, 권1의 권미제는 ‘제(第)’ 자가 ‘제(苐)’ 자이다.
권수제 다음 행의 주해 정보는 “온릉개원련사비구 계환 해(溫陵開元蓮寺比丘 戒環 解)”이며, 판심에는 판심제 “법(法)”과 그 아래 “일(一) 일(一)”의 권차 · 장차(張次)가 새겨져 있다. 그러면서 1면 3장의 변상도(變相圖)가 탈락되어 있으며, 권7의 제53장부터 있는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발문과 간행 정보도 확인되지 않는다.
법화사상(法華思想)을 담고 있는 『묘법연화경』은 천태종의 근본 경전으로,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지속적으로 조성 · 유통된 대표적인 불교 기록유산이다. 『묘법연화경』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걸쳐 최소 160여 종류가 조성 · 유통되었다.
백운사 소장의 『묘법연화경』은 구자국(龜玆國) 출신으로 후진(後秦)에서 활동한 구마라습이 한역(漢譯)한 『묘법연화경』을 송나라 임제종(臨濟宗)의 승려 지식인 계환이 주해, 저술한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이다.
해당 판본은 서지사항이 보물로 지정된 경상북도 김천시 직지사(直指寺) 소장본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과 동일하므로, 1405년경 전라도 운제현(雲梯縣: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도솔산 안심사에서 판각한 목판을 후대 찍어 만든 인출본으로 확인된다.
해당 목판은 성달생(成達生) · 성개(成槪) 형제가 돌아가신 아버지 성석용(成石瑢)을 추모할 목적으로 정성스럽게 썼던 필사본을 승려 신문이 확보하여 안심사에서 목판으로 판각하였다고 한다.
판각 불사의 시주질(施主秩)은 토산군부인(兔山郡夫人) 김씨(金氏) 등이, 대공덕주(大功德主)는 서원길(徐元吉) 등이, 사업의 책임을 맡은 대화주(大化主)는 선사(禪師) 명회(明㑹) 등이 각각 분담하였으며, 변상도의 각수(刻手)는 현(玄)이었다.
조성 불사에서는 국운의 오랜 지속과 중생의 널리 구제 등을 기원하였으며, 변상도의 경우에는 정씨(鄭氏)가 고려 우왕(耦王)의 서방정토(西方淨土)를 염원하기도 하였다.
백운사 소장의 『묘법연화경』 3권 1책은 전체 7권 가운데 권1∼3의 영본이며, 표지 · 앞면 안에 ‘변상도― 요해서― 권수제― 주해 정보― 분과품 제목― 본문 내용― 권미제’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요해서는 “정강정미막춘중한일근서(靖康丁未莫春中澣日謹序)”로 마무리되어 있다.
탈락된 변상도의 마지막 부분에는 “특별히 복위합니다. 돌아가신 우왕께서 선가를 타시고 서방정토에서 태어나길 염원합니다. 이에 화공에게 변상도를 그려 판각하여 유통하는 이는 시주 정씨입니다[特為亡耦王昇仙駕超生淨圡之願倩畫變相鋟梓流通者施主鄭氏]”라는 내용이 새겨져 있었으며, 변상도 2장의 앞면 하단에는 각수 현이 새겼다[玄刀]라는 내용도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백운사 소장 판본과 동일한 인출본의 권7 제53 · 54장에는 1405년 음력 3월 하순 양촌 권근이 원판의 간행 정보를 밝혀놓은 발문(跋文)이 있으며, 발문에 이어 시주(施主) · 조성 조직 등이 새겨져 있다.
백운사 소장의 『묘법연화경』 3권 1책은 1면 3장의 변상도와 권4∼7이 탈락되어 있다. 그러면서 서지사항에서는 1405년경 안심사에서 판각한 목판을 후대 찍어 만든 인출본으로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해당 판본은 태종 때 도솔산 안심사의 출판 인쇄 역량과 불교 사상적 경향 등도 진단할 수 있는 원천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동 백운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10월 23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