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명도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에 중국 동베이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4년 4월
사망 연도
1935년 3월 5일
출생지
평안북도 신의주
주요 경력
조선혁명군 제1로 사령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96)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장명도는 일제강점기에 중국 둥베이〔東北〕 지역에서 독립 단체인 국민부의 참모와 흥서총관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대한통의부에서 선전 활동과 일본군 격퇴에 큰 공을 세웠으며, 조선혁명군 제3사 사령으로서 흥경현 등지에서 항일전을 전개하였고, 통화현에서 일제 경찰대와 교전 중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에 중국 동베이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장명도(張明道)는 1904년 평안북도 신의주에서 출생하였다.

주요 활동

장명도는 3 · 1운동 후부터 1924년경까지 이범윤(李範允) · 진학신(秦學新) 등이 만주 각지에 산재한 의병 출신들을 모아 1919년 4월 조직한 의군부(義軍府)와 1922년 8월 봉천성 환인현(桓仁縣)에서 조직된 항일독립군 연합 단체인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이때 국내에 독립운동을 홍보하는 한편, 일본군을 공격하고, 일제의 식민 통치 시설을 파괴하였다. 일본군과의 전투 과정에서 귀 아래 뼈 부분에 총상을 입어 큰 흉터로 남았다.

1929년 4월 한국인의 공안 유지, 단일 자치기관을 실현하였다. 한 · 중 양국 연대를 목적으로 조직된 국민부에서 처음에는 제1중대 제1소대장을, 나중에는 참모와 흥서총관(興西總管)을 맡았다. 국민부는 1929년 4월 만주의 독립운동 단체인 정의부(正義府) · 신민부(新民府) · 참의부(參議府) 등 이른바 삼부 대표들이 지린성〔吉林省〕에 모여 삼부를 해체하고 새로이 조직한 남만주 지역을 대표하는 독립운동 단체였다. 국민부는 1929년 9월 조선혁명당을 결성함으로써 이후 당 · 정 · 군의 체제를 갖추어 갔다.

1932년 이후 조선혁명군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조선혁명군은 1929년 12월 20일 결성되었으며, 조선혁명당의 군대이다. 조선혁명군은 다른 항일부대와 연합하여 북간도 지방은 물론 국내의 평안도 · 함경도 지방까지 출몰하여 일제 경찰서 등 경비 기관을 파괴하였으며, 기타 소규모 전투 등을 벌여 일제에 충격을 주었다.

1935년 8월경 조선혁명군 제1사 사령(司令) 한검추(본명 최석용)가 이끄는 부대가 통화현 쾌대무자(快大茂子)에서 일본군 기병대와 접전하여 적 40여 명을 사살하고 최신 기관총 6정 등을 노획하는 전과를 거두었다. 이 시기에 총사령 양세봉(梁世奉)과 함께 흥경현(興京縣)에서 부하 150명을 집결시켜 중국 공비와 합동 항일작전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1934년 8월 양세봉이 항일투쟁 과정에서 전사하자, 조선혁명군 제3사 사령으로서 흥경(興京) 왕청문(旺淸門) 등지에서 양세봉의 뒤를 이어 고이허(高而虛) 등과 함께 항일전을 전개하였다. 조선혁명군 병사로서 10여 년간 소대장, 중대장, 참모장 등의 직함을 차례로 거쳤고, 순국 수개월 전에는 조선혁명군 제1로 사령직에 임명되어 복무하였다.

1935년 3월 5일 오전 11시경 랴오닝성〔遼寧省〕 환인현 표자동(豹子洞) 농가에 잠복하여 활동하던 중 환인현 헌병대에게 발각되어 헌병대의 공격을 받고 동료 이영수(李永洙)와 함께 교전 중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6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장세윤, 『양세봉–남만주 최후의 독립군 사령관』(역사공간, 2017)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37 : 조선민족혁명당 및 기타 정당』(국사편찬위원회, 2009)
『국외용의조선인명부(國外容疑朝鮮人名簿)』(조선총독부 경무국, 1934)

논문

이영훈, 「조선혁명군과 장명도」(『한국사의 이해』, 중산정덕기박사화갑기념한국사논총간행위원회, 1996)
정원옥, 「양세봉 : 조선혁명군 총사령의 연구」(『국사관논총』 8, 국사편찬위원회, 1989)
조범래, 「국민부의 결성과 활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 2,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8)
정원옥, 「재만 대한통의부의 항일독립운동」(『한국학보』 36, 일지사, 1984)

신문

『동아일보』(1935. 3. 3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