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백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전라남도 장성군 출신의 평민 의병장.
이칭
이명
김우(金佑)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0년 9월 3일
사망 연도
1910년 5월 3일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전라남도 장성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82)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영백은 대한제국기 1907년 정미칠조약이 체결되고 군대마저 강제로 해산당하자 전라남도 장성군에서 1천여 명의 의병을 규합해 선봉, 중군, 후군장 등의 조직 체계를 갖추고 의병장으로서 큰 전과를 올렸다. 부하 의병들을 보호하기 위해 자수하였다가 대구감옥에서 교수형으로 순국하였다.

정의
대한제국기 전라남도 장성군 출신의 평민 의병장.
가계 및 인적 사항

김영백(金永伯)은 1880년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北二面) 달성리(達成里)에서 부친 김명기(金命基)와 어머니 탐진최씨(耽津崔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최춘흠(崔春欽)의 딸이다. 본관은 안동(安東), 후에 김우(金佑)라고도 불렸다. 형 김준이(金俊伊)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며, 농업에 종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주요 활동

1907년 10월 정미칠조약(丁未七條約, 한일신협약)이 체결되고 군대마저 강제로 해산당하여 일제 침략이 노골화되어 가자 국권을 회복할 목적으로 고향인 장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1,000명의 동지를 모아 의진(義陣)을 조직하고 스스로 대장이 되었으며, 선봉(先鋒) · 중군(中軍) · 후군장(後軍長) · 좌우익장(左右翼長) · 군량관(軍糧官) 등으로 부대를 편성하였다.

200정의 총을 준비하였으며, 화약 · 식량 · 피복 등의 군수품과 군자금은 각 고을에서 징발하여 군비를 갖추었다. 장성을 중심으로 광주 · 고부 · 정읍 · 흥덕 · 고창 · 순창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으며, 장흥 출신으로 당시 19세였던 고제남(高濟南)은 김영백 부대의 좌익장(左翼將)으로 활동하였다.

1908년 음력 3월 정읍 단곡리(丹谷里)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기병을 습격하였으며, 9월에는 덕흥군 방장산(方丈山) 산록 백계동(白溪洞)에서 일본군 기병 및 순사대(巡査隊)와 교전하여 10여 명을 사살하였다. 10월에는 장성군 북이면 신기리(新基里)에서 일본군 수비대 기병과 교전하였으며, 11월에는 북이면 오현(鰲縣)에서 일본 헌병과 교전하였다.

1909년 1월 말경 동군 북이면 상곡리(上谷里)에서 수비대 기병과 2월 중순에는 동군 북일면 동산리(東山里)에서, 2월 말에는 흥덕군 세곡리(細谷里)에서, 4월에는 덕흥군 일동면(一東面) 구수교(九水橋)와 고부군 강고리(江古里), 흥덕군 일남면(一南面) 유점리(鍮店里)에서 교전하였다.

1909년 2월 15일에는 강대영(姜大榮)에게 130여 명의 의병과 총기 70여 정 및 도검 다섯 자루를 주어 의진을 편성할 수 있게 돕기도 하였다. 그러나 김영백은 이와 같은 눈부신 활약에도 불구하고 신분상의 한계로 양반 중심의 다른 의진과는 광범위한 연합전선을 이루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일제의 전라도 지역에 대한 남한대토벌이 격화되고 의병진의 피해가 갈수록 커지자 같은 해 12월 의진이 적에게 노출되자 동지들을 보호하기 위해 하는 수 없이 일본군 헌병대 고부분견소(古阜分遣所)에 자수하였다. 1909년 12월 20일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내란죄로 교수형을 선고받았으며, 공소를 제기하였지만 기각되어 형이 확정되어 1910년 대구감옥에서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8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유공자공훈록』 1(국가보훈처, 1986)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 1(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2(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2(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0)
김승학, 『한국독립사』(독립문화사, 196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