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절인연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모든 사물의 현상이 시기가 되어야 일어난다는 말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모든 사물의 현상이 시기가 되어야 일어난다는 말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시절인연은 불교의 업설과 인과응보설에 의한 것으로 사물은 인과의 법칙에 의해 특정한 시간과 공간의 환경이 조성되어야 일어난다는 뜻이다. 중국 명말 항주 운서산에 기거한 승려 운서주굉(雲棲株宏: 1535~1615)이 조사법어를 모아 편찬한 『선관책진(禪關策進)』에, “시절인연이 도래(到來)하면 자연히 부딪혀 깨쳐서 소리가 나듯 척척 들어맞으며 곧장 깨어나 나가게 된다”라는 구절에 연유한다.

불교에서는 삼시업(三時業)이라 하여 업을 지어 과보를 받는 시간적 차이를 세 가지로 나누고 있다. 즉 ①순현업(順現業)은 현생에 짓고 현생에 받는 것이고, ②순생업(順生業)은 전생에 짓고 금생에 받거나 금생에 짓고 내생에 받는 것이며, ③순후업(順後業)은 여러 생에 걸쳐서 받는 것이다. 예를 들면 봄에 볍씨를 심어 가을에 수확하는 것은 현생에 짓고 업을 받는 것이기에 순현업에 해당되고, 순생업은 전생의 인연에 의해 금생에 부부가 되거나, 이번생의 연분으로 내생에 부부가 되는 것에 해당하고, 순후업은 선업이나 죄업이 커서 여러 생 동안 공덕이나 죄업을 받거나, 몇 생을 건너 받는 것을 말한다. 현대에는 기회와 때가 올 때 일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참고문헌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대정신수대장경[대정장] 27)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192(대정장 27)
『선관책진(禪關策進)』
『業論の硏究』(佐佐木現順, 京都: 法藏館, 1990)
『俱舍論の硏究』(櫻部 建, 京都: 法藏館 , 1975)
『佛敎要語の基礎知識』(水野弘元, 東京: 春秋社, 1972)
「轉生の理論」(福原亮嚴, 『印度學佛敎學硏究』 Vol. 8-2,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960)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