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림 양복 ( )

의생활
의복
국가유산
일제강점기 이후, 항일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인 유림이 착용한 양복.
의복
재질
모, 아세테이트 등
제작 시기
1958~1961년
소장처
독립기념관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소재지
충청남도 천안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유림 양복은 항일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인 유림(본명 유화영)이 착용한 양복이다. 독립운동가의 의복이며, 1950년대 후반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초기 국산 모직물과 플라스틱 단추 등 현물로서의 가치와 그 시대상을 보여 주는 자료이다. 중산복 유형의 복식이 해방과 한국 전쟁 이후에 ‘신생활복’을 거쳐 1961년 제정된 표준 간소복과 같은 형태로 지속되어 이 양복은 우리나라 현대 남성복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유물로 평가된다.

정의
일제강점기 이후, 항일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인 유림이 착용한 양복.
연원

유림(柳林)이 착용했던 의복으로 독립기념관에 소장하고 있다. 유림은 어릴 때 유화종(柳花宗)이란 이름을 쓰다가 1919년 항렬에 맞추어 유화영(柳華永)으로 개명하였다. 호를 월파(月波) ‧ 단주(旦洲)로 쓰고, 이명(異名)으로는 고상진(高尙眞) ‧ 고자성(高自性) 등으로도 불렸다. 활동 후반기에 단주라는 호가 주로 사용되었다.

형태 및 용도
  1. 상의

상의의 뒷길이는 73.5㎝이고, 품은 53.5㎝이며, 소매 길이는 58㎝이다.

유림 양복 상의의 겉감은 청회색 모직물(毛織物), 안감은 아세테이트이다. 단추 5개로 여몄고, 스탠드 앤드 폴 칼라(stand and fall collar)가 달렸으며, 칼라 안쪽에는 보조 칼라를 달기 위한 고정용 스냅 5개가 달려 있다. 앞길 양쪽 가슴에 덮개[flap]가 있는 패치 포켓(patch pocket)이 달려 있고, 양쪽 허리에 엔벨로프 포켓(envelope pocket)이 달려 있다.

왼쪽 안주머니 위에 황색 실로 유림의 호(號)인 ‘旦洲(단주)’를 수놓았다. 오른쪽 안주머니 위에는 ‘대구시 중앙통 시민양복점(市民洋服店)’이라는 라벨이 붙어 있다. 이 라벨은 합성수지에 압인(壓印)한 것이다. 진동 안쪽에 양복점의 상호와 주소가 붉은색 도장으로 찍혀 있는 가죽 심지가 있다.

  1. 바지

바지의 길이는 104㎝이고, 허리는 45㎝이다.

바지는 앞면 좌우에 각각 2개씩 주름(tuck)이 있고, 밑단이 4㎝ 접어 올려져 있다. 서스펜더(suspender)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단추가 허리 밴드 안쪽 좌우에 2개씩 4개 달려 있다. 앞 중심 허리 단추는 단춧구멍이 아닌 단춧고리로 고정하게 되어 있다. 지퍼 대신 ‘PUSAN SIN-HUNG’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단추 5개로 여몄다. 바지 밑단, 옆선, 옆 주머니 양쪽의 시접 부분에 ‘ALL WOOL “ORIENTAL TEX” DONGYANG KOREA 500’이라는 글자가 제직(製織)된 식서(飾緖)가 있다.

유림 양복을 만든 대구시 중앙통의 ‘시민양복점’은 서문시장과 인접한, 오늘날의 대구 중앙대로(中央大路) 일대에 위치한 것으로 짐작된다. 유림 양복을 제작한 양복지는 1950년 부산에서 설립된 ‘동양실업’(지금의 ‘태광산업’)이 1958년에 만든 첫 자체 양복지 브랜드였다. 동양실업의 설립자 이임용(李壬龍, 1921~1996)의 지시로 양복지 식서에 오리엔탈 텍스의 영문명을 새겨 넣었다고 전한다.

변천 및 현황

독립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던 유물이 보존 처리를 위해 2017년 3월에 국립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 맡겨졌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문화재보존과학센터(현,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에서 2018년 4월부터 1년여 동안 보존 처리를 하였고, 이후 독립기념관에 소장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유림 양복은 항일 독립운동가의 의복이며, 1950년대 후반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초기 국산 모직물의 현물로서의 가치와 그 시대상을 보여 주는 자료이다. 유림 양복은 중산복(中山服) 유형의 복식이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에 ‘ 신생활복’을 거쳐 1961년에 제정된 ‘ 표준간소복’과 같은 형태로 지속되어 우리나라 현대 남성복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유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근·현대 문화유산 의생활 분야 목록화 조사 연구 보고서』(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2012)
『2014년도 등록문화재 등록 조사 보고서』(문화재청, 2015)

논문

이량미·안보연, 「국가등록문화재 제609호 유림 양복 보존처리와 제작 시기 고찰」(『한국의류학회지』 45-4, 한국의류학회, 2021)

인터넷 자료

안보연, 「3.1운동 100주년, 보존처리로 되살아난 독립운동가의 복식」(문화재보존과학센터 보도자료, 2019.02.28.)(https://www.nrich.go.kr/buyeo/boardView.do?menuIdx=283&bbscd=33&bbs_idx=41182)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https://search.i815.or.kr/dictionary/main.do)

기타 자료

「2022년 6월 30일 기준 국가등록문화재 총괄 현황표」(문화재청)
안보연, 「독립운동가 단주 유림의 양복」(『월간문화재사랑』, 2019.03.0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