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라 적삼 ( 적삼)

의생활
의복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저마사로 제직한 항라를 옷감으로 하여 만든 속저고리 또는 여름용 홑저고리.
이칭
이칭
저항라 적삼(苧亢羅 적삼)|저항라 적삼(苧杭羅 적삼)|모시항라 적삼, 저항라 적삼(苧杭羅 적삼), 모시항라 적삼
의복
재질
모시
제작 시기
19세기 말~20세기 초
소장처
서울특별시 강남구 경운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저항라 적삼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저마사로 제직한 항라를 옷감으로 하여 만든 속저고리 또는 여름용 홑저고리이다. 옷감 이름 중의 하나인 저항라라는 명칭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문헌에 나타난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진 저항라 실증 유물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서 소장한 남성용 소색 적삼의 옷감으로 사용된 한 점뿐이다. 1930년대에 만들어진 이 저항라 적삼은 문헌에만 남아 있었던 저항라라는 옷감이 실제로 존재하였음을 증명하는 유물로서 보존 가치가 인정되어 2014년에 국가 등록 문화재(현, 국가등록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저마사로 제직한 항라를 옷감으로 하여 만든 속저고리 또는 여름용 홑저고리.
연원

저항라 적삼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저마사(苧麻絲)로 제직한 항라(亢羅)를 옷감으로 하여 만든 속저고리 또는 여름용 홑저고리이다. 항라는 일반적으로 경위사에 견사(絹絲)를 사용하여 제직하지만, 저항라는 저마사로 제직한 항라이다. 그리고 항라는 평직(平織)과 익조직(搦組織)을 조합하여 제직한 직물이다. 항라를 제직하기 위해서는 이웃한 위사 세 올이나 다섯 올 또는 일곱 올을 평직으로 짠 다음, 경사를 한 번 교차시키고, 또 다시 이전과 동일한 올 수의 위사를 평직으로 짜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렇게 제직하면 위사 방향, 즉 직물의 가로로 줄무늬가 생긴다. 항라는 이웃하여 한 조(組)를 이루는 평직 부분의 위사의 올 수에 따라 3족(三足) 항라, 5족(五足) 항라, 7족(七足) 항라로 호칭한다.

『ᄇᆞᆯ긔』, 『조선휘보(朝鮮彙報)』 등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문헌에는 저항라(苧亢羅), 즉 저마사로 제직한 항라의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휘보』 1915년 3월호의 「조선향염직물명칭류휘(朝鮮向染織物名稱類彙)」에는 생저항라(生苧亢羅)와 백저항라(白苧亢羅)라는 명칭이 있는데, 백저항라는 표백한 것이라고 하였다. 1927년 12월 22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염상섭(廉想涉)의 소설 「사랑과 죄(131)」에는 ‘모시항라 적삼’이라는 명칭이 있어 저항라를 ‘모시항라’라고도 불렀음을 알 수 있다.

1892년(고종 29)의 『임진칠월이십일 의화군관례시 의복ᄒᆞ야보ᄂᆡ오신 ᄇᆞᆯ긔』에는 저항라를 적삼의 옷감으로 사용하였음이 기록되어 있다. 또 1910년대, 1920년대의 혼례 물목에는 저항라가 고쟁이, 바지, 치마의 옷감으로 기록되어 있다.

앞에서 서술한 것처럼 저항라라는 명칭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여러 문헌에 나타난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진 저항라 실증 유물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서 소장한 남성용 소색(素色)의 적삼 옷감으로 사용된 단 1점뿐이다.

형태 및 용도

적삼은 앞을 여며 입는 저고리형의 의복으로, 저고리 안에 받쳐 입는 내의(內衣) 또는 여름의 외의(外衣)로 착용하였다. 1927년 12월 22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염상섭의 소설 「사랑과 죄(131)」에는 속적삼 위에 모시항라 적삼, 즉 저항라 적삼을 덧입은 인물이 등장하여 당시 저항라 적삼을 외의로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에 소장된 저항라 적삼의 크기는 등 길이 58㎝, 화장 73㎝, 뒷품 54.5㎝이다. 적삼의 겨드랑이와 어깨 부분에는 동일한 옷감으로 바대를 대어 강화시켰다. 이 적삼에 사용된 저항라는 경사와 위사의 일부에 실을 이어 주는 꼬임이 보여 인피 섬유로 제직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웃하여 한 조를 이루는 평직 부분의 위사가 다섯 올인 5족 항라이다.

변천 및 현황

현재까지 알려진 저항라 실증 유물은 경기여자고등학교 경운박물관 소장 남성용 소색 적삼의 옷감으로 사용된 것 한 점뿐이다. 1930년대에 만들어진 이 저항라 적삼은 문헌에만 남아 있었던 저항라라는 옷감이 실제로 존재하였음을 증명하는 유물로서 그 보존 가치가 인정되어 2014년에 국가 등록 문화재(현, 국가등록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의의 및 평가

경운박물관 소장 저항라 적삼 유물을 통해 문헌 기록에만 남아 있었던 저항라라는 옷감이 실제로 존재하였으며, 저항라가 적삼의 옷감으로 애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저항라 적삼은 따라서 한국 직물사 연구의 실증적 사료로서 보존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단행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근대직물 100년』(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3)

논문

권은주, 『기산 풍속화의 항라직기 복원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박혜원, 『적삼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이은진,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