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紗)는 이웃한 두 올의 경사를 서로 꼬이도록 제직한, 얇고 가벼운 직물이다. 이렇게 두 올의 경사가 한 조(組)를 이루며 좌우로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을 2경교(二經絞)의 익직물(搦織物)이라고 한다.
그런데 사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달랐다. 실증 유물이 풍부한 중국의 사례를 통해 볼 때 고대와 중세의 사는 얇은 견사(絹絲)를 경 ‧ 위사로 사용하여 비교적 성글게 제직한 평직의 견직물이었다. 이러한 직물은 외관이 비쳐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에서는 이처럼 성글게 짠 평직물을 방목사(方目紗) 또는 방공사(方空紗)라고 하였다. 백제 무령왕릉, 부여 능안골 고분군, 경산 임당동 고분군 등에서 출토된 성근 평견직물(平絹織物)의 사례를 보면, 올과 올 사이에 조금의 공간이 있도록 직조한 유형과 경사 두 올과 두 올 사이에 간격이 생기도록 직조한 유형 등이 있다.
한편 2경교의 익직물인 사는 고려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왕의 상복(常服)에 쓰는 관모는 오사(烏紗), 즉 검은색 사로 만들었고, 백관의 공복(公服)에 착용하는 복두는 사(紗)로 만들었다.
무늬를 직조하지 않은 사는 소사(素紗) 또는 무문사(無紋紗), 무늬를 직조한 사는 문사(紋紗) 또는 화문사(花紋紗)라고 호칭하였다. 고려 말에 경사를 들어 올리는 종광(綜絖) 장치가 설비된 문직기(紋織機)가 개발되면서 무늬 있는 사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무늬 있는 사는 대개 바탕을 익조직이나 평직으로, 무늬는 평직, 익조직, 능직, 수자직 등 여러 조직을 조합하여 직조하였다.
조선시대에는 2경교로 제직법이 상대적으로 단순한 사가 3경교, 4경교의 라(羅)를 대체하게 되었다. 『만기요람』, 『한양가』, 『탁지준절』, 『ᄇᆞᆯ기』 등 조선 말기의 문헌에는 갑사, 고사, 공사, 관사, 광사, 광수사, 국사, 궁사, 양사, 왜사, 은조사(銀條紗), 진주사(眞珠紗) 등 매우 다양한 사의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동일한 사직물 내에서도 백봉문(白鳳紋), 백접문(白蝶紋), 별문(別紋), 수복문수(壽福紋), 운문(雲紋), 운학문(雲鶴紋), 접문(蝶紋), 화문(花紋), 화접문(花蝶紋), 화학문(花鶴紋) 등 무늬에 따른 명칭 역시 매우 세분화되었다. 또한 ‘사(紗)’라는 글자가 붙은 직물이 견직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견면교직(絹綿交織), 견저교직(絹紵交織), 면모교직(絹毛交織) 등에 이르기까지 섬유 성분도 다양하였다. 조선시대 문헌 기록과 유물을 통해 볼 때 사는 종류의 다양성과 사용 빈도 면에서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직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사 중에서 갑사, 생고사, 숙고사, 은조사, 진주사 등은 현재까지도 대표적인 전통 직물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