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사 ()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물품
조선 말기, 서양에서 유입되어 사용된 방모 직물.
물품
재질
모섬유
용도
양복감|한복감
제작 시기
조선 말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라사는 조선 말기 서양에서 유입되어 사용된 방모 직물(紡毛織物)이다. 라사라는 명칭의 기원은 포르투갈어 ‘Raxa’이다. 16세기 무렵에 일본으로 건너간 포르투갈인들이 서양의 모직물을 ‘라샤(Raxa)’라고 호칭하는 것을 들은 일본인들이 그 직물의 이름을 한자로 ‘羅紗’라고 표기하면서 라사가 전해지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1900년에 서구식 연미복을 문관의 대례복으로 정하고, 라사를 대례복의 주요 옷감으로 사용하면서 유입되었다. 양복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들어온 라사는 우리나라 전통 복식의 소재로도 사용되었다.

정의
조선 말기, 서양에서 유입되어 사용된 방모 직물.
연원

라사(羅紗)라는 명칭의 기원은 포르투갈어 ‘Raxa’이며, 16세기경에 일본으로 건너간 포르투갈인들이 서양의 모직물을 ‘라샤(Raxa)’라고 호칭하는 것을 들은 일본인들이 한자로 ‘羅紗(ラシャ)’라고 표기하면서 라사가 전해지기 시작하였다. 1607년에 중국에서 간행된 왕기(王圻)의 『삼재도회(三才圖會)』를 18세기 일본에서 보완 · 수정하여 간행한 『왜한삼재도회(倭漢三才圖會)』에서는 라사를 “네덜란드[阿蘭陀, オランダ]로부터 들어온 모직 상품”으로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00년(광무 4)에 고종이 제14호 칙령 「문관복장규칙(文官服裝規則)」을 내려 서구식 연미복(燕尾服)을 문관의 대례복(大禮服)으로 정하면서 라사가 유입되었다. 이 칙령에서 대례복의 상의, 조끼, 바지의 겉감은 짙은 흑감색(黑紺色)의 라사를 소매와 칼라는 연청색(軟靑色)의 라사를 사용하도록 규정하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문헌에 라사라는 명칭이 나타나는 것은 20세기 초부터이다. 『만기요람(萬機要覽)』, 『한양가(漢陽歌)』, 『탁지준절(度支準折)』 등 19세기 문헌까지는 라사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1915년의 『조선휘보(朝鮮彙報)』에 그 명칭이 보인다. 또 조선 말기의 『무오ᄉᆞ월옹쥬아기시생신의복ᄇᆞᆯ긔』에 ‘송화ᄉᆡᆨ유문나사동의복’, 정확한 연도와 제목이 밝혀지지 않은 『의ᄃᆡᄇᆞᆯ긔』에 ‘미ᄉᆡᆨ별문나사단쥬의’, ‘미ᄉᆡᆨ별문나사배ᄌᆞ’라는 구절이 있다. 이때의 옹주는 덕혜옹주(德惠翁主)이며 무오년(戊午年)은 덕혜옹주 탄생 이후인 1918년으로 추정된다.

제복(制服)으로 착용되었던 양복이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라사는 양복감을 뜻하는 용어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제복이나 개인의 양복을 제작하던 양복점들의 상호명에 라사라는 단어가 많이 들어갔다.

양복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유입된 라사는 우리나라 전통 의복의 옷감으로도 사용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궁중에서 사용한 물품에 대해 기록한 『ᄇᆞᆯ긔』에서는 라사가 배자(褙子)와 주의(周衣, 두루마기)의 옷감으로 사용되었다. 현대의 전통 한복에서 때때로 치마저고리나 바지저고리는 견직물이어도 두루마기는 모직물로 만들어 입는 것이 여기서부터 비롯되었을 것이라고 본다.

형태와 제작방식

1951년에 간행된 일본의 『섬유사전(纖維辭典)』에 따르면 라사는 경위사에 방모사(紡毛絲)를 사용하고 기모(kimô, 起毛) 처리를 한 두꺼운 방모 직물인데, 경사에 소모사(梳毛絲)를 사용한 경우도 있다. 라사는 제직 후에 축융(縮絨), 기모, 브러싱(brushing) 등의 공정으로 모우(毛羽)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대개 경위사의 조직이 잘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라사의 직물 조직은 평직(平織), 능직(綾織), 주자직(朱子織), 이중직(二重織) 등이 있다. 일본의 『섬유사전』에서는 라사의 색상으로 흑색(黑色)과 감색(紺色)이 많으며, 무늬가 있는 것도 있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의 『ᄇᆞᆯ긔』에는 라사의 색상으로 미색(米色)과 송화색(松花色)이 기록되어 있으며, ‘유문나사’, ‘별문나사’라는 명칭이 있어, 무늬가 있는 라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경미, 『제복의 탄생』(민속원, 2012)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식주생활사전』(국립민속박물관, 2017)

논문

이은진,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기타 자료

『동아일보』(1922.02.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