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미복 ()

의생활
의복
대한제국기, 문관의 소례복으로 착용된 서양 남성 예복.
의복
재질
모직
제작 시기
근대
관련 의례
황제 알현, 공식적인 연회 참석 등
내용 요약

연미복은 대한제국기 문관의 소례복으로 착용된 서양 남성 예복이다. 뒷자락이 제비의 꼬리처럼 갈라져 있는 것이 특징적인 테일코트의 한 종류이다. 1900년(광무 4) 4월 17일에 발표된 칙령 제14호 「문관복장규칙」을 통해 국내에 처음 도입되었다. 소례복의 구성품으로는 연미복과 함께 진사고모(眞絲高帽)라고 한 실크해트, 조끼, 바지가 있었다.

정의
대한제국기, 문관의 소례복으로 착용된 서양 남성 예복.
연원

연미복(燕尾服)은 대한제국기(大韓帝國期) 소례복(小禮服)으로 제정된 서양의 남성 예복이다. 뒷자락이 제비의 꼬리처럼 갈라져 있는 것이 특징적인 테일코트(tail 주11의 한 종류이다. 테일코트는 본래 승마(乘馬)의 편의성을 위해 뒷자락을 가른 형태의 코트이다. 연미복은 1900년(광무 4) 4월 17일에 발표된 주12 제14호 「문관복장규칙(文官服裝規則)」을 통해 국내에 처음 주1.

연미복과 함께 착용되는 소례복의 구성품에는 진사고모(眞絲高帽), 조끼, 바지가 있었다. 진사고모는 실크해트(silk 주13를 뜻한다. 조끼는 흉부활개제(胸部濶開製) 형태였고 바지는 상의와 동일한 색과 재질로 만들었으며 구두는 칠한 가죽으로 만들었다.

서양에서는 연미복을 스왈로우테일(swallow-tail), 드레스 코트(dress 주14, 풀 드레스(full 주15 등으로 불렀다. 19세기 초반에는 시간에 관계없이 행사에 맞춰 입는 예복이었다가 19세기 중반 이후 낮에는 프록코트(frock 주16를 입고, 저녁 시간에는 더 격식 있는 행사에서 연미복을 착용하였다. 이와 같이 연미복은 서양에서는 근대에 형성된 예법(禮法), 혹은 매너의 개념에 따라 착용된 예복이었지만 대한제국에서는 법령을 통해 주17 제도로 도입하였다. 이보다 앞선 1872년(고종 9) 일본에서는 연미복을 통상예복(通常禮服)으로 정하면서 받아들였다. 이 시기에 통상예복과 소례복은 같은 개념으로 사용된 용어였다.

형태 및 용도

연미복은 뒷자락이 중심에서 양쪽으로 갈라지는 형태이고, 검정 혹은 검정에 가까운 어두운 색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앞 허리에서 직선으로 절개되어 뒷자락까지 길게 연결되었다.

「문관복장규칙」에서 소례복인 연미복은 궁내에서 황제를 알현하러 나아갈 때, 공식적인 연회에 참석할 때, 예를 갖추어 상관에게 인사할 때, 사적으로 서로 축하 또는 위로할 때 착용하도록 하였다. 한편 대례복(大禮服)은 칙임관(勅任官)주임관(奏任官)까지의 문관(文官)이 착용할 수 있었지만, 소례복은 칙임관, 주임관, 판임관(判任官)까지의 문관이 착용하도록 하여 대례복보다 더 넓은 직위에서 착용한 예복이었다. 또한 판임관이 대례복을 착용해야 할 상황에서는 소례복인 연미복이 대례복을 대용할 수 있었다. 즉 연미복은 소례복으로 착용하기도 하고 대례복을 대용하기도 한 예복이었다. 같은 시기 대한제국 외의 다른 나라에서도 연미복에 주24주25 경우에는 연미복을 대례복으로 대용할 수 있었다.

변천 및 현황

대한제국기 소례복은 1905년(광무 9) 「문관복장규칙」의 개정을 통해 주6와 연미복으로 주2. 이러한 변화는 대한제국에서 복식 제도로 서양 남성 예복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겪었던 일종의 시행착오라고 볼 수 있다. 주18에 따르면 프록코트는 궁내에서 황제를 주19 때나 각국의 주20주21 때, 사적으로 방문할 때 착용하는 소례복으로, 연미복은 각국의 사신을 접견하거나 궁중의 연회에 참석할 때, 외국 주27의 만찬과 같은 더 격식 있는 행사에서 착용하는 소례복으로 정해졌다.

1900년대 초반에 서양에서는 프록코트보다는 주7나 라운지 코트(lounge coat)를 착용하는 빈도가 높아졌고 연미복은 계속 예복으로 착용하였다. 현대에 와서 테일코트는 화이트 주23의 드레스 주22가 요구되는 자리나 외교 현장, 격식 있는 자선 행사에 참석할 때 착용하거나 음악회의 공연자가 착용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개항(開港) 이후 진행된 갑오의제개혁(甲午衣制改革)은 소례복으로 주8주9를, 을미의제개혁(乙未衣制改革)흑단령(黑團領)을 채택하여 서양 복식 체계에 전통 복식을 대응한 과도기적 복식 제도였다. 이후 대한제국기에는 서양 예법에 맞는 연미복을 소례복으로 바로 도입하여 서양 의례에 임할 때 형식에 부합하는 내용을 갖추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종실록(高宗實錄)』
『(구한국) 관보(官報)』

단행본

Mansfield, A. & Cunnington, P., 『Handbook of English Costume in the 20th Century 1900-1950』(Faber and Faber Ltd., 1973)
Davis, R. I., 『Men’s Garments 1830-1900』(Player’s Press Inc., 1994)
Storey, N., 『 History of Mens’ Fashion』(Remember When, 2008)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구한국 관보 복식관련 자료집』(민속원, 2011)
이경미, 『제복의 탄생: 대한제국 서구식 대례복의 성립과 변천』(민속원, 2012)

논문

이경미, 「개항기 전통식 소례복 연구」(『복식』 60-4, (사)한국복식학회, 2014)
이경미, 「대한제국기 서구식 소례복 연구」(『한복문화』 21-3, (사)한복문화학회, 2018)

인터넷 자료

위키피디아(https://en.wikipedia.org/wiki/Tailcoat)
주석
주1

『(구한국) 관보』 호외, 광무4(1900)년 4월 19일

주2

『(구한국) 관보』 1905년 1월 16일 정오(正誤)

주6

남자용의 서양식 예복의 하나. 보통 검은색이며 저고리 길이가 무릎까지 내려온다. 우리말샘

주7

남자가 낮 동안 입는 서양식 예복. 프록코트 대용으로 입는다. 우리말샘

주8

우리나라 고유의 웃옷. 주로 외출할 때 입는다. 옷자락이 무릎까지 내려오며, 소매ㆍ무ㆍ섶ㆍ깃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말샘

주9

조선 시대에 입던, 밑이 길고 소매가 없는 조끼형의 관복. 또는 그런 군복. 우리말샘

주11

남자용 서양 예복. 보통 검은 나사로 만드는데, 가슴은 두 겹이고 단추는 셋이며, 저고리의 앞은 허리 아래가 없고 뒤는 두 갈래로 길게 내려와 마치 제비의 꼬리처럼 보인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12

임금이 내린 명령. 우리말샘

주13

남자가 쓰는 정장용 서양 모자. 춤이 높고 둥글며 딱딱한 원통 모양에 윤기가 있는 깁으로 싸여 있다. 우리말샘

주14

남자용 서양 예복. 보통 검은 나사로 만드는데, 가슴은 두 겹이고 단추는 셋이며, 저고리의 앞은 허리 아래가 없고 뒤는 두 갈래로 길게 내려와 마치 제비의 꼬리처럼 보인다. 우리말샘

주15

정장 차림의 야외복. 여성들은 정장 드레스를 입고, 남성들은 검은색 연미복에 흰색 타이를 맨다. 우리말샘

주16

남자용의 서양식 예복의 하나. 보통 검은색이며 저고리 길이가 무릎까지 내려온다. 우리말샘

주17

옷과 장신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8

이미 정하였던 것을 고쳐서 다시 정한 법령. 우리말샘

주19

지체가 높고 귀한 사람을 찾아가 뵈다. 우리말샘

주20

온 국민이 기념하는 경사스러운 날. 우리말샘

주21

축하하여 예를 차리다. 우리말샘

주22

시간, 장소, 상황에 어울리도록 옷의 스타일, 격식, 모양, 색상 따위를 정해 놓은 옷차림. 우리말샘

주23

남자들이 연미복에 매는 흰색 타이. 우리말샘

주24

나라나 군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를 기리어 칭찬하여 내리는 문서. 우리말샘

주25

훈장이나 명패 따위를 몸에 달다. 우리말샘

주27

관직에 있는 사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