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병 부위 예복 ( )

의생활
의복
국가유산
대한제국기, 육군 보병 부위가 착용한 서구식 군복의 예복 구성품.
의복
재질
흑융, 홍융, 가죽 등
제작 시기
대한제국기
관련 의례
육군의 정장 착용 시의 의례
소장처
육군박물관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소재지
육군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보병 부위 예복(步兵 副尉 禮服)은 대한제국기 육군 보병 부위가 착용한 서구식 군복의 예복 구성품이다. 육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20년 10월 15일 국가등록문화재(현, 국가등록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케피(képi)형 예모 1점, 더블 브레스티드(double breasted)형 예복 상의 1점, 타원형과 장방형을 합친 형태의 대례견장 2점, 식서 1점, 식대 1점이 남아 있다. 예복 상의가 1900년(광무 4)에 개정된 「육군장졸복장제식」을 따른 형태이므로 1900년 이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의
대한제국기, 육군 보병 부위가 착용한 서구식 군복의 예복 구성품.
연원

보병 부위 예복(步兵 副尉 禮服)은 2020년 10월 15일에 국가등록문화재(현, 국가등록문화유산)로 지정된 대한제국기(大韓帝國期) 장교의 군복 유물로, 육군박물관에서 1962년에 구입하여 소장하고 있다. 육군 보병 부위 계급의 예복 구성품으로, 예모(禮帽) 1점, 예복 상의 1점, 대례견장(大禮肩章) 2점, 식서(飾緖) 1점, 식대(飾帶) 1점이 남아 있다.

형태 및 용도

개항 이후 대한제국기에 육군 장교의 계급은 장관(將官), 영관(領官), 위관(尉官)으로 나누어졌고, 더 세분하여 대장(大將), 부장(副將), 참장(參將), 정령(正領), 부령(副領), 참령(參領), 정위(正尉), 부위(副尉), 참위(參尉)로 나누어졌다. 본 유물은 부위의 예복으로 장교 중 아래에서 두 번째 계급에 해당한다.

1897년(고종 34)에 개정된 「육군장졸복장제식(陸軍將卒服裝制式)」을 기준으로 예모 유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탕 재질은 검은색 융(絨)이고 정수리에는 오얏꽃 장식과 하반부에는 홍색 융을 달았다. 당시 홍색은 보병을 나타냈다. 모자 윗면과 상반부, 하반부에는 금실로 짠 양고직을 장식하였다. 먼저 윗면에는 양고직(兩股織) 1줄을 원형으로 둘렀다. 상반부에는 전후좌우에 세로로 양고직을 각 1줄씩 붙이고 하반부에는 가로로 2줄을 붙였다. 세로와 가로로 붙이는 양고직의 수는 계급을 나타내는 것으로 위관의 세로줄은 모두 1줄이었고, 가로줄은 정위 3줄, 부위 2줄, 참위 1줄이었다. 본 예모는 2줄이기 때문에 부위 계급에 해당한다. 모자 정면에는 오얏꽃과 나뭇가지를 수놓은 타원형 표장(表章)을 붙였다. 모자 앞에는 검은색 가죽 차양(遮陽)이 있고, 턱 끈과 금속제 단추는 현재 남아 있지 않다.

1900년(광무 4)에 개정된 「육군장졸복장제식」의 대례의(大禮衣)를 기준으로 예복 상의 유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탕 재질은 검은색 융이고 옷깃, 소매 끝, 뒤트임 장식으로 홍색 융을 달았다. 밑단을 제외한 가장자리에 홍색 융의 얇은 선을 둘렀다. 옷깃의 장식은 의령장(衣領章)이라고 하는 계급장의 역할을 하는데, 위관은 일자(一字) 선을 상단에 1줄, 하단에 1줄 수놓았고, 옷깃 좌우에 별 1개씩을 금실로 수놓았다. 가슴 좌우에는 오얏꽃 문양을 새긴 금속 단추를 7개씩 2줄로 달았다. 이와 같이 두 줄 단추가 달린 상의 형태를 더블 브레스티드(double breasted)형이라고 한다. 소매에는 수장(袖章)이라고 하는 계급장을 달았다. 부위 계급의 수장은 인자(人字) 모양으로 금선 양고직선(兩股織線) 2줄을 붙였다. 인자 머리 꼭대기에는 오얏꽃 문양(文樣)을 만들어 붙였다. 소매 끝의 홍색 융에는 오얏꽃 문양을 새긴 금속제 단추를 3개씩 달았다.

대례견장 유물은 금사(金絲)로 넓게 짠 직물로 만들었고 직사각형과 타원형을 합친 모양이었다. 장방형에는 오얏꽃을 새긴 도금제 단추를 달았고 타원형에는 중앙에 홍색과 흑색의 태극을 두고 좌우에 은색 별이 2개씩 있어야 하지만 현재는 흔적만 있다.

식서는 황색 실로 짠 끈으로 만들었고 끈의 양쪽 끝에 금속제 장식이 달려 있다.

식대는 홍색 실로 만든 띠이고 양쪽 끝에 황색 실로 만든 술이 달려 있다. 홍색 띠에는 금속으로 만든 고정 장치가 있다.

1897년의 「육군복장규칙(陸軍服裝規則)」에서 대례의와 대례견장을 갖추면 정장 차림에 해당하였다. 정장에는 이외에도 바지, 도(刀)와 도대(刀帶) 등을 더 갖춰야 하였다. 대한제국기에 육군은 황제나 황태자의 생신인 성절(聖節) 진하(進賀) 때, 각 전궁(殿宮)의 탄신 축하 때, 환구(園丘), 묘(廟), 사(社) 등에 동가(動駕)하는 등의 때에 정장을 착용하였다.

변천 및 현황

개항 이후 대한제국기 동안 군복의 형태는 총 4번 변화하였다. 1895년(고종 32)의 최초 제정에 해당하는 제1기는 투구형 모자와 싱글 브레스티드 상의였고, 제2기는 1897년의 개정으로, 모자는 케피형, 상의는 늑골복(肋骨服) 형태였다. 1900년 7월에 개정된 제3기부터는 예복 상의(上衣)는 더블 브레스티드형, 상복 상의는 싱글 브레스티드(single breasted)형으로 변화하였다. 1907년(광무 11)에 개정된 제4기는 예복 형태의 변화는 없었고, 상복 상의(常衣)의 색상이 다갈색으로 변화한 시기이다. 보병 부위 예복은 3기와 4기의 예복 형태에 해당하므로 1900년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육군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보병 부위 예복은 위관(尉官)의 중간 계급인 부위가 착용했던 유물로 대한제국 장교 복식을 이해하고 비교, 분석하는 데 중요한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구한국) 관보(官報)』

단행본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의 군복식발달사』 1(국방군사연구소, 1997)
단국대학교부설 동양학연구소, 『구한국 관보 복식 관련 자료집』(민속원, 2011)
육군박물관, 『육군박물관 소장 군사복식』(육군박물관, 2012)

논문

이경미·노무라 미찌요·이지수·김민지, 「대한제국기 육군 복장 법령의 시기별 변화」(『한국문화』 8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박가영·이경미, 「대한제국의 상징 복식, 군복」(『강군의 염원, 대한제국 군을 다시 보다』, 육군박물관, 2021)

기타 자료

『2020년도 국가등록문화재 등록조사보고서』(문화재청, 202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