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수승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고려 및 조선시대, 불서 등을 간행하기 위해 목판에 글자나 변상도를 새기는 승려.
내용 요약

각수승은 고려 및 조선시대에 불서 등을 간행하기 위해 목판에 글자나 변상도(變相圖) 등을 새기는 승려이다. 판각의 업무는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여 전문 각수들이 담당하는데, 승려 신분의 각수들이 이 일을 주로 담당하였다. 그들은 국가 사회의 전문 기술 인력으로 사찰 및 관서, 나아가 사가에서의 서책들을 간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목차
정의
고려 및 조선시대, 불서 등을 간행하기 위해 목판에 글자나 변상도를 새기는 승려.
내용

목판으로 책을 찍고 만들어내는 과정에는 각각의 과정마다 특수한 기능을 지닌 여러 기술자가 참여함은 물론, 책의 저술과 원고의 정리에 이어 이를 받아 새기고 찍어내는 여러 과정이 필연적이다. 따라서 각 작업 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계층의 인물이 책의 간행에 참여하기 때문에 책의 주1주2 그리고 책의 권말(卷末)에 그 참여자에 대한 기록을 남긴다. 이러한 역할 분담을 잘 보여주는 자료가 불서이다. 불서에는 권말 부분에 간행 기록과 함께 일을 맡아서 처리한 사람들이 수행한 역할과 그들의 이름을 자세히 수록하고 있다.

간행의 업무 분담은 서사자(書寫者), 각수(刻手), 교정자(校正者)와 기타 참여자들이 나누어 맡게 된다. 그 가운데 서사자들이 쓴 판하본을 나무에 붙이고 그대로 새겨내는 작업은 각수들의 몫이며, 판각의 업무는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기에 주로 전문 각수들이 담당하였다.

각수에 대한 기록 역시 책의 권말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지만 판심(版心)이나 변란(邊欄) 밖에 각수명(刻手名)을 새기기도 하였다. 이러한 각수들을 각자장(刻字匠), 각공(刻工), 각원(刻員)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으며, 문헌에서는 각수, 각자(刻字), 각(刻), 간자(刊字), 각원, 각공, 도(刀), 간각(刊刻), 원각(願刻), 양공(良工) 등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고려와 조선시대 간행된 불서의 경우, 권말, 간기(刊記), 주3, 어미(魚尾), 변란(邊欄) 밖 좌우에서 판각에 참여한 각수들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각수명은 대부분 승려 신분으로 판각에 참여했던 각수승(刻手僧)의 약칭명이 기입되어 있다. 각수승은 승려 사회에서 직분상 중급 및 하급 계층의 승려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지만, 기록에 의하면 꼭 그렇지는 않고 주지와 주지를 역임한 승려가 불서를 판각한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각수승들이 승려 사회에서 꼭 하급 계층에 해당한다고 볼 수만은 없다.

승려들이 각수로 참여하여 판각하는 일이 승려로서 수행해야 할 업은 아니다. 하지만 불서를 간행하는 작업이 불법을 널리 알리는 방편이고, 무상의 공덕을 쌓는 방도기에 그 지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많은 승려들이 기꺼이 불서의 간행에 참여하였다. 또한 승려들은 작업의 대가를 받기보다는 오히려 불서의 주4 비용을 부담하기도 하였다.

일찍이 세종 연간(世宗年間)에 억불책의 하나로 도성 내외에서 주5을 기피한 승려를 단속한 일이 있다. 이 때 서책 장배승(粧褙僧)과 주자소의 각자승은 소임이 있는 자라 하여 그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또 주6 주7을 보면 각수는 이름 위에 각수라는 직분이 명기되어 있는데, 이는 각수가 국가 사회의 전문 기술 인력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졌기 때문이다. 결국 각수승들은 사찰 및 관서, 나아가 사가에서의 서책들을 간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천혜봉, 『韓國典籍印刷史』(汎友社, 1990)
김두종, 『韓國古印刷技術史』(탐구당, 1995)
한국국학진흥원, 『동아시아의 목판인쇄』(한국국학진흥원, 2008)
김상호, 『조선의 각수 연구』(대구대학교출판부, 2013)
남권희 외, 『목판의 행간에서 조선의 지식문화를 읽다』(글항아리, 2013)
한국국학진흥원, 『기록유산과 목판문화』(한국국학진흥원, 2015)
주석
주1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2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3

옛 책에서, 책장의 가운데를 접어서 양면으로 나눌 때에 그 접힌 가운데 부분. 우리말샘

주4

출판물을 처음으로 찍어 냄. 주로 한적(漢籍)이나 고서(古書)의 출판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5

군대에서 복역하거나 군대의 진영(陣營)에서 부역하는 일. 우리말샘

주6

호적상 집의 수효와 식구 수. 우리말샘

주7

호구(戶口), 토지 면적, 노비 따위를 등록하여 둔 대장.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