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판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목판에 글씨나 그림 등을 새겨서 간행을 하는 행위.
내용 요약

개판은 목판에 글씨나 그림 등을 새겨서 간행을 하는 행위를 뜻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행한 서적을 목판본(木版本) · 간각본(刊刻本) · 각판본(刻板本) · 판각본(板刻本) · 누판본(鏤板本)이라고 한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간행된 목판본에서 ‘개판’이라는 말은 불경의 간기(刊記)에서 주로 확인이 가능한데, 간기는 ‘연호(年號, 간지(干支))+간행지(刊行地)+간행처(刊行處)+개판(開板)’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정의
목판에 글씨나 그림 등을 새겨서 간행을 하는 행위.
내용

개판은 목판에 글씨나 그림 등을 새겨서 간행하는 행위를 뜻한다. 누판(鏤板)은 목판에 글이나 그림 등을 새기는 행위 또는 글이나 그림 등이 판각된 목판을 뜻하는데, 주로 인출하기에 앞서 목판에 새긴 책판을 의미한다.

1796년(정조 20)에 간행된 『누판고(鏤板考)』는 조선시대의 목판 제작 및 지역별 분포 상황을 확인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자료 가운데 한가지이다. 『누판고』에는 어찬(御撰) 20종, 어정(御定) 46종, 경부(經部) 47종, 사부(史部) 74종, 자부(子部) 119종, 집부(集部) 304종 등 총 610종이 수록되어 있다. 『누판고』에는 목판의 내용과 목판을 제작한 주체, 목판이 인쇄된 지역의 전체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누판고』를 전체적으로 보면 정부 주1가 목판 인쇄를 주도하고 있었다는 점과 민간에서 목판 인쇄를 하는 경우 집부(集部), 즉 개인 문집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크다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관서판 11개처 80종을 제외하고 지역을 기준으로 개판처(改板處)를 나누었을 때 경상도에 관서, 서원, 사찰, 주2 등 모든 경우에 개판처가 가장 많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런 현상은 주로 지역의 정치 경제적 측면에서 설명되고 있지만, 이는 목판 인쇄가 유교적 정신 가치의 공유 및 확산과 독특한 지역문화의 형성에 기여한 측면을 과소평가한 해석이다.

목판으로 인쇄한 문헌의 저자들은 퇴계 이황에 학문적 연원을 두면서 영남지역의 유교 문화를 형성했던 주역들이었다. 이들은 노론(老論)이 집권하던 조선 후기에는 정치적으로 소외되었지만 주리론(主理論)에 바탕한 영남 유학의 독자적 학풍을 발전시켰다. 그 결과 수많은 유적과 유물이 안동을 중심으로 한 경상도 북부 지역에 집중적으로 흩어지게 되었고, 문헌의 왕성한 생산과 보급을 통해 정신적 동질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영남지역의 유학자들이 목판 인쇄를 선호한 것은 보관과 관리가 편리하고 책을 인출한 후에도 판의 해체가 불가능하여 장기 보존에 유리했기 때문이다. 또한 선조들이 남긴 정신적 유산을 영구히 보존하는 수단으로 생각했던 것도 목판 인쇄가 빈번하게 이루어진 이유이다.

참고문헌

원전

『누판고(鏤板考)』

단행본

李春熙, 『李朝書院文庫目錄』(國會圖書館, 1969)
김두종, 『韓國古印刷技術史』(탐구당, 1995)
정형우·윤병태, 『한국의 책판목록』 2책(보경문화사, 1995)
한국국학진흥원, 『동아시아의 목판인쇄』(한국국학진흥원, 2008)

논문

김종석,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유교목판의 특징과 기록유산적 가치」(『동아시아의 목판인쇄』, 한국국학진흥원, 2008)
金允植, 『鏤板攷의 書誌的 硏究』(成均館大 碩士學位論文, 1978)
류탁일, 「책판의 연구영역 설정과 그 과제」(『국학연구』 6, 한국국학진흥원, 2005)
辛承云, 「유교사회의 출판문화-특히 조선시대의 문집 편찬과 간행을 중심으로」(『대동문화연구』 3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1)
주석
주1

관청과 그 부속 기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개인이 살림하는 집.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