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판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목판에 글이나 그림 등을 새기는 행위 또는 글이나 그림 등이 판각된 목판.
내용 요약

누판은 목판에 글이나 그림 등을 새기는 행위 또는 글이나 그림 등이 판각된 목판을 뜻한다. 누판은 주로 인출하기에 앞서 목판에 새긴 책판을 말한다. 조선 후기, 정조는 1796년 서유구(徐有榘) 등 각신(閣臣)들로 하여금 서울과 8도에서 소장하고 있던 누판을 총 정리하도록 하여 전국 소재 책판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누판고(鏤板考)』를 편찬하게 하였다.

목차
정의
목판에 글이나 그림 등을 새기는 행위 또는 글이나 그림 등이 판각된 목판.
내용

『누판고』는 서유구(徐有榘, 1764~1845)규장각대교(待敎)로 있을 때, 정조의 명으로 1796년(정조 20)에 전국(全國)에서 개판(開板)된 책판(冊板)을 조사하고 해제(解題)하여 편찬한 전국의 누판 해제 목록이다. 『누판고』의 범례에는, 1778년(정조 2)에 정조가 각 도에서 공적, 사적으로 간행된 책판을 기록하여 올리라는 주2를 내려 중앙 관서와 8도의 주1를 비롯하여 서원 · 사찰 · 사가에서 올라온 판본을 규장각에서 책판의 보존 여부를 조사하고 주제별로 분류시켜 1796년(정조 20)에 완성하였다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임진왜란병자호란 등으로 우리나라의 인쇄 업무는 오랫동안 침체되었으나 17세기 후반 무렵부터 각도의 지방 관서에서 다시 판각이 시작되어 18세기 초까지 적지 않은 수의 책판이 새겨졌다. 영조대와 정조대에는 『삼남책판목록(三南冊版目錄)』, 『오거서록(五車書錄)』등의 책판 목록이 있었는데, 『누판고』에는 이러한 책판 목록집 중에서도 중앙 및 지방의 공사장판(公私藏板)을 포괄적으로 조사하고 상세히 기록하였다.

『누판고』의 목차는 권1 「어찬(御撰)」, 「어정(御定)」, 권2 경부(經部), 권3 사부(史部), 권4 자부(子部) 상(上), 권5 자부(子部) 하(下), 권6 집부(集部) 상(上), 권7 집부(集部) 하(下) 총 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판고』는 서명과 권수를 기록하고 찬자, 관직, 간단한 해제, 소장처 및 책판의 흠집 유무, 그리고 인쇄하는 데 필요한 인지(印紙)의 수 등을 기록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누판고』의 자부(子部) 부분 중 역어류(譯語類)가 있는 것은 중국의 서목(書目) 분류와는 다른 점으로, 조선의 실정에 맞게 청어(淸語), 몽어(蒙語), 왜어(倭語) 등의 역어류를 신설하여 서목을 분류한 것이다. 그리고 술수류(術數類)를 세분하여 감여지속(堪輿之屬), 점서지속(占筮之屬), 명서지속(命書之屬), 음양오행지속(陰陽五行之屬)으로 분류하였는데, 이 또한 『누판고』에서만 보이는 분류상의 특징이다.

『누판고』는 정조 전후 전국에서 판각된 책판에 대한 서지 자료로, 주3 후기의 목판본을 조사 연구하는 데 신빙성이 있으며 편성 체재가 잘 갖추어져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원전

『누판고(鏤板考)』
『삼남책판목록(三南冊版目錄)』
『오거서록(五車書錄)』

단행본

천혜봉, 『韓國典籍印刷史』(汎友社, 1990)
김두종, 『韓國古印刷技術史』(탐구당, 1995)
한국국학진흥원, 『동아시아의 목판인쇄』(한국국학진흥원, 2008)
한국국학진흥원, 『기록유산과 목판문화』(한국국학진흥원, 2015)

논문

김윤식, 『鏤板考의 書誌的 硏究』(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8)
류탁일,「책판의 연구영역 설정과 그 과제」(『국학연구』 6, 한국국학진흥원, 2005)
이상용, 「『鏤板考』 수록 도서의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書誌學硏究』 31, 한국서지학회, 2005)

인터넷 자료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http://kostma.korea.ac.k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kyujanggak.snu.ac.kr)
주석
주1

예전에, 벼슬아치들이 모여 나랏일을 처리하던 곳. 우리말샘

주2

관청 따위에서 국민을 타일러 가르침. 또는 그런 문서. 우리말샘

주3

1392~1910년에 한반도를 지배하던 왕조. 태조 이성계부터 순종에 이르기까지 27명의 임금이 계승하였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