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지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닥나무 등의 긴 섬유와 녹색을 띤 긴 실 모양의 해캄을 섞어 만든 종이.
이칭
속칭
측리지(側理紙), 척리지(陟釐紙)
내용 요약

태지(苔紙)는 닥나무 등의 긴 섬유와 파란색을 띤 수태(水苔)를 섞어 만든 종이이다. 태지는 중종 때 김안국(金安國)이 진상하며 알려진 뒤로 널리 사용되었다. 종이의 품격이 매우 고아하여 시전지(詩箋紙), 간찰지(簡札紙), 시문지(詩文紙), 서화지(書畵紙), 혼서지(婚書紙) 등 특수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는 종이이다.

목차
정의
닥나무 등의 긴 섬유와 녹색을 띤 긴 실 모양의 해캄을 섞어 만든 종이.
내용

태지(苔紙)는 닥나무 등의 장섬유와 파란색을 띤 주1를 섞어 만든 종이이다. 태지의 제조법에 관해서는 1541년(중종 36)에 병조판서로 있던 김안국(金安國)이 중종에게 태지 5속(束)을 진상한 자세한 내용이 있다( 『중종실록』 권95, 중종 36년 6월 25일). 이에 따르면, 김안국이 고서(古書)를 살펴보다 수태로 종이를 만든다는 말이 있어 시험 삼아 만들어 보았다고 한다. 닥나무에 수태를 섞어 만드는 것인데, 수태가 어린 것은 조금 더 많이 넣어 닥나무와 섞고, 수태가 노성한 것은 매우 적게 넣어 닥나무와 섞어 만들었다고 한다. 이에 중종은 태지를 서울과 지방에 보급할 목적으로 김안국이 진상한 태지를 조지서(造紙署)에 보내 태지의 견본을 만들도록 명하였다. 태지는 김안국이 진상하기 이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었지만, 김안국이 진상한 1541년 이후로 태지가 보편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태지는 일반 닥나무 종이의 제조 과정과 유사하다. 지통에 황촉규를 넣은 물을 넣고 닥섬유를 골고루 푼 다음 깨끗이 씻은 수태를 넣어 종이를 떴다. 이때 닥나무 등의 장섬유가 주원료이고, 수태는 종이의 표면에 아름다운 문양을 드러내기 위해 넣는 부수적인 첨가 재료이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태지 실물은 간찰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푸른색의 가는 수태가 종이의 표면에 펼쳐져 문양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간찰의 문양지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태지는 태지의 품격을 드러낼 수 있는 용도로 시전지, 시문지, 서화지, 혼서지 등에 사용되었다.

조선 후기 유득공(柳得恭)이 지은 『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에는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실린 해초(海草)를 설명한 글이 있다. 그중 “수태가 있는데 색깔은 녹색으로, 곧 측리지(側理紙)를 만드는 것이다.”라는 내용이 있다. 수태는 곧 주2를 뜻하는 말로, 측리지는 그 결이 종횡으로 비스듬하다고 해서 붙여진 태지의 또 다른 명칭이다. 이 내용 뒤로는 송대 약물학자 구종석(寇宗奭)의 말을 인용하여 수태를 태포(苔脯)라 하고, 우리나라에서는 파래[叵羅][^3]라고 불렀다고 하여 태지의 재료가 파래였음을 설명한 내용이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
『모재집(慕齋集)』
『중종실록(中宗實錄)』

단행본

이오규 외, 『잊혀진 한지 이야기: 태지와 시지의 부활』(국립산림과학원, 2021)

논문

정선영, 「태지(苔紙)에 대한 일고찰(一考察)」(『서지학연구』 7, 한국서지학회, 1991)
주석
주1

녹조류 별해캄과에 속하는 담수 조류. 머리카락 모양의 사상체로 분열법과 접합에 의하여 번식한다. 생리학ㆍ분류학의 실험 재료로 쓰고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전 세계에 150여 종이 분포한다. 호수나 늪 따위의 민물에서 볼 수 있다. 우리말샘

주2

홍조류 보라털과의 조류. 몸의 길이는 30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나 주름이 져 있다. 검은 자주색 또는 붉은 자주색을 띠고 바닷속 바위에 이끼처럼 붙어 자라는데 식용한다. 우리나라의 서남 연안에서 많이 나며 널리 양식한다. 우리말샘

주3

식용할 수 있는 참홑파래 따위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집필자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