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태음(安胎飮)
임신 중의 태동불안과 복통 등을 치료하는 처방. # 내용
이 처방은 명나라 때에 편찬한 『고금의감(古今醫鑑)』에 처음 수록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 잡병편 10권에 태루(胎漏: 임신중 복통이 없이 자궁 출혈이 조금씩 있는 증상)와 태동(胎動)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기록되었는데, 임상에서는 임신 5∼6개월의 태동불안(胎動不安)을 치료하며, 행기안태(行氣安胎)시키는 처방으로 응용하였다.
처방 내용으로는 백출(白朮) 7.50g, 조금(條芩) 5.62g, 당귀(當歸)·백작약(白芍藥)·숙지황(熟地黃)·축사(縮砂)·진피(陳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