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장국가(君長國家)
우리 나라 역사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국가 형태를 가리키는 역사용어. # 내용
이전에 역사학계에서는 최초의 국가를 일반적으로 ‘부족국가(部族國家)’라 했고, 1970년대 중반 무렵부터는 ‘성읍국가(城邑國家)’로 고쳐 부르자는 새로운 견해가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 뒤 미국의 신진화주의(新進化主義) 인류학자들의 국가형성단계론이 우리나라에 소개되면서 부족국가 또는 성읍국가 대신 ‘군장국가’로 부르자는 견해가 대두하였다.
이것은 서비스(Service, E. R.), 살린스(Sahlins, M. D.) 등이 국가(state) 바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