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륙재유고(藏六齋遺稿)
3편, 문(文) 2편, 부(賦) 1편, 잡저 5편, 기(記) 2편, 별지 1편, 묘갈음기(墓喝陰記) 2편, 행장 2편, 과문(科文) 3편, 권2에 시 237수, 부록으로 설(說) 6편, 전 6편, 행장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의 「장륙재무망괘효서(藏六齋无妄卦爻序)」는 무망괘효에 주(酒)·인(人)·매(梅)·국(菊)·서(書)·금(琴)을 배치하고, 그의 체(體)·용(用)·덕(德)·재(才)·변(變)·응(應)·시(時)·의(義)를 풀이하였다. 전 가운데 「최탁전(崔卓傳)」은 최탁이 13세 때 아버지가 이웃의 송흥주(宋興周)에게 피살되자, 복수의 일념으로 3년간을 지내고 칼을 품고 관부(官府)로 들어가 그를 찔러죽인 일을 기록한 것이다. 부록에는 금선생(琴先生)·서선생(書先生)·국선생(菊先生)·매선생(梅先生)·문선생(文先生)·주선생(酒先生) 등 「육선생설(六先生說)」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