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스름

목차
국악
개념
본곡을 연주하기 전에 속도와 호흡을 조절하기 위하여 짧은 곡조를 연주하는 일 또는 그 악곡. 조음.
이칭
이칭
조음
목차
정의
본곡을 연주하기 전에 속도와 호흡을 조절하기 위하여 짧은 곡조를 연주하는 일 또는 그 악곡. 조음.
내용

피리나 대금(젓대) 같은 관악기의 경우 그 본곡을 제대로 연주하기에 앞서 취법(吹法)의 조절과 지공(指孔)의 적부 등을 가늠하기 위한 일종의 시취(試吹)가 있으며, 거문고나 가야금 등 현악기의 경우는 일단 조현(調絃)을 끝내고 줄이 고른지 여부와 탄법과 안현(按絃)의 요체를 위한 간단한 가락의 시주(試奏)가 있다.

옛 악보에는 조음(調音)·치음(治音)·치아음(治兒音), 또는 다사림(多士林)·다슬음(多瑟音) 혹은 ᄃᆞᄉᆞᄅᆞᆷ·다ᄉᆞ림 등으로 쓰였는데, 그 조음·치음·치아음은 한문으로의 의역이고, 다사림·다슬음 등은 한자를 빌려 우리말로 표기한 것이다. 그리고 ᄃᆞᄉᆞᄅᆞᆷ·다ᄉᆞ림은 우리말의 옛 표기에 속하여 모두 다스름 또는 다스림의 음사(音寫)인 것이 분명하다.

다스름의 음악적 기능은 판소리의 창우(唱優)가 <춘향가>나 <심청가> 같은 판소리를 부르기에 앞서 목을 풀기 위해 부르는 단가(短歌)의 기능과도 같다. 다스름은 대개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악기나 사람에 따라 특유한 것과, 또 다른 하나는 가락은 다르나 각 악기 공통의 보편적인 것 등이다.

예를 들어 전자는 피리의 간단한 가락을 부는데 이것이 사람마다 일정하지 않은 것이다. 또, 당피리나 향피리에 따라서도 그 가락이 어느 정도 다르게 마련이다. 이러한 다스름에는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시대 피리재비 이용진(李龍振)의 다스름과 이왕직아악부의 아악수장을 지낸 박창균(朴昌均)의 대금다스름, 그리고 현존하는 국악계의 원로 김천흥(金千興)의 극히 짤막한 해금다스름이 대표적이다.

본곡에 앞선 짤막한 가락의 시연(試演)이므로 그 한배(빠르기)는 비교적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러나 그 기법은 각 악기의 특징을 고도로 포함하고 있어 다스름 연주의 교졸(巧拙:익숙함과 서투름)은 그야말로 그 자비[差備:연주자]의 기량을 능히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척도가 되기도 한다.

후자의 다스름에는 <우조다스름>·<평조다스름>·<계면조다스름> 등 세 가지가 있어, <우조다스름>은 우조의 곡을 타기 전에, <평조다스름>은 평조의 곡을 타기 전에, 그리고 <계면조다스름>은 계면조의 곡을 타기 전에 여러 재비가 함께 연주하는 것이다. 모든 합주에 있어 거문고가 들어앉는 한 거문고가 실제로 그 연주를 이끌기 때문에, 다스름에서도 거문고가 중심이 되고 또한 주도적인 구실을 한다.

그런 까닭에 현존하는 각 악기의 <우조다스름>과 <계면조다스름>은 하나같이 거문고 다스름을 그 악기의 성능이나 주법에 맞게 윤색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다스름은 거문고의 선주(先奏)로 시작될 뿐만 아니라 그 밖의 다른 악기군이 거문고의 강약·한배를 따라간다.

<우조다스름>·<평조다스름>·<계면조다스름> 중 <평조다스름>은 오늘날 거의 연주되지 않고 있다. <우조다스름>은 주로 가곡 반주의 경우 <우조첫치 初數大葉>가 시작되기 전에 연주하고, <계면조다스름>은 주로 <현악영산회상>과 역시 가곡 <계면조첫치>를 부르기 전에 연주하여 전주(前奏)의 구실을 한다.

다스름이 수록된 가장 오래된 악보는 1610년(광해군 2) 악사 양덕수(梁德壽)가 엮은 ≪양금신보 梁琴新譜≫이다. 또한, 1680년(숙종 6) 신성(申晟)이 엮은 ≪신증금보 新證琴譜≫에 보면 평조와 우조의 다스름만 있고, 평조계면조와 우조계면조에는 예로부터 다스름이 없고, 다만 학습이 능숙하게 되면 가히 추이(推移)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註)만 달고 있다.

참고문헌

『양금신보(梁琴新譜)』
『신증금보(新證琴譜)』
『삼죽금보(三竹琴譜)』
『정악거문고보』(성경린, 대악회, 1980)
『최신국악총론』(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5)
집필자
성경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