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명산기 ()

목차
관련 정보
동국명산기
동국명산기
인문지리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 성해응이 전국의 명승지에 대하여 정조 연간에 편찬한 지리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 성해응이 전국의 명승지에 대하여 정조 연간에 편찬한 지리서.
내용

1책 66장. 사본. 이 책은 전국을 경도(京都)·기로(畿路)·해서(海西)·관서·호중(湖中)·호남·영남·관동·관북 등 9구역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엮었다. 경도산수편(京都山水篇)에는 인왕산(仁王山 : 旺이 아닌 王으로 서술)·삼각산(三角山)이 서술되어 있다.

기로산수편에는 도봉산(道峰山)·수락산(水落山) 외에 백운산(白雲山)·백로주(白鷺洲)·석천곡(石泉谷)·삼부연(三釜淵)·화적연(禾積淵)·금수정(金水亭)·창옥병(蒼玉屛)·미지산(彌智山 : 지금의 용문산)·소요산(逍遙山)·만취대(晩翠臺)·보개산(寶蓋山)·성거산(聖居山)·천마산(天摩山)·천성산(天聖山)·화담(花潭)·임진적벽(臨津赤壁)과 여주의 청심루(淸心樓)·앙덕촌(仰德村)·석호정(石湖亭) 등이 서술되어 있다.

해서산수편에는 총수산(葱秀山)·석담(石潭:高山九曲)·구월산(九月山)·백사정(白沙汀)이 나오고, 관서산수편에는 가수굴(佳殊窟 : 동룡굴)·묘향산·금수산(錦繡山)이 설명되고 있다.

호중산수편에는 계룡산·선담(銑潭)·용담(龍潭)·병천(屛川)·속리산·천정대(天政臺)·고란사·조룡대·반월성(半月城)·자온대(自溫臺)·사비수(泗沘水)·간월도(看月島)·안흥진(安興鎭)·안면도·영보정(永保亭)·황강(黃江)·단양읍촌(丹陽邑村)·하선암(下仙巖)·중선암(中仙巖)·수일암(守一庵)·유선대(遊仙臺)·사인암(舍人巖)·운암(雲巖)·장회촌(長淮村)·구담(龜潭)·도담(島潭)·풍수혈(風水穴)·한벽루(寒碧樓)·도화동(桃花洞)·수옥정(漱玉亭)·고산정(孤山亭)·선유동(仙遊洞)·탄금대·달천(達川)·가흥(可興)·손곡(蓀谷)·법천(法泉)·흥원창(興元倉)·월악산 등이 서술되어 있다.

호남산수편에는 금골산(金骨山)·덕유산·서석산(瑞石山 : 무등산)·금쇄동(金鎖洞 : 대둔산)·월출산(月出山)·천관산(天冠山)·달마산(達摩山)·한라산·지리산·변산(邊山) 등의 명승명경이 기술되어 있다. 영남산수편에는 가야산·청량산(淸凉山)이 으뜸가는 명산으로 상세하게 서술되고, 도산(陶山)·소백산과 상주의 사불산(四佛山 : 功德山이라고도 함.)·옥산(玉山)·빙산(氷山)·태백산·금산(錦山)·내연산(內延山) 등이 서술되어 있다.

관동산수편에는 금강산이 전체 내용의 3분의 1 정도에 걸쳐 상세히 쓰여 있고, 이 밖에 오대산·성류굴(聖留窟)·한계(寒溪)·설악산이 구분되어 설명되었으며, 화음산(華陰山)·청평산(淸平山) 등이 나온다. 관북산수편에는 백두산을 비롯해서 칠보산·학포(鶴浦 : 원산의 명사십리)·국도(國島) 등이 쓰여 있다.

이와 같이 이 책은 전국의 명산 명승을 골라 산·포(浦)·대(臺)·담(潭)·사(寺)·동굴·섬·곡(谷)·누(樓)·동천(洞天)·정(亭)·정(汀)·진(鎭) 등 전국의 명경에 대하여 그 위치·형세·형승·고사 및 명인(名人)의 소거(所居) 사실 등을 설명하고 있다.

특기할 사항은, 산의 높이가 그 당시의 측량 사정으로 기록되지 못하였고 관북·관동 지방의 교통로가 불편한 명산이 제외되었다는 점, 강의 승경에서는 전체적인 기록이 없이 작은 범위의 승경을 취급한 점이다. 이 책은 금강산과 대동강 유역의 금수산에 역점을 두고 금수강산 명승의 부각에 주안을 두고 서술한 듯하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동국명산기≫ 사본 1책이 반환문화재(返還文化財)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고, 성해응이 엮은 내용을 서유구(徐有榘)가 교사(校寫)하였으며, 1909년에 동경외국어학교 한국교우회가 간행한 인본(印本) 1책 51면이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東國名山記』(東京外國語大學, 1909)
『한국사』(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2)
『한국근대화의 여명』(유홍렬, 탐구당, 1971)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