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66장. 사본. 이 책은 전국을 경도(京都) · 기로(畿路) · 해서(海西) · 관서 · 호중(湖中) · 호남 · 영남 · 관동 · 관북 등 9구역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엮었다. 경도산수편(京都山水篇)에는 인왕산(仁王山 : 旺이 아닌 王으로 서술) · 삼각산(三角山)이 서술되어 있다.
기로산수편에는 도봉산(道峰山) · 수락산(水落山) 외에 백운산(白雲山) · 백로주(白鷺洲) · 석천곡(石泉谷) · 삼부연(三釜淵) · 화적연(禾積淵) · 금수정(金水亭) · 창옥병(蒼玉屛) · 미지산(彌智山 : 지금의 용문산) · 소요산(逍遙山) · 만취대(晩翠臺) · 보개산(寶蓋山) · 성거산(聖居山) · 천마산(天摩山) · 천성산(天聖山) · 화담(花潭) · 임진적벽(臨津赤壁)과 여주의 청심루(淸心樓) · 앙덕촌(仰德村) · 석호정(石湖亭) 등이 서술되어 있다.
해서산수편에는 총수산(葱秀山) · 석담(石潭:高山九曲) · 구월산(九月山) · 백사정(白沙汀)이 나오고, 관서산수편에는 가수굴(佳殊窟 : 동룡굴) · 묘향산 · 금수산(錦繡山)이 설명되고 있다.
호중산수편에는 계룡산 · 선담(銑潭) · 용담(龍潭) · 병천(屛川) · 속리산 · 천정대(天政臺) · 고란사 · 조룡대 · 반월성(半月城) · 자온대(自溫臺) · 사비수(泗沘水) · 간월도(看月島) · 안흥진(安興鎭) · 안면도 · 영보정(永保亭) · 황강(黃江) · 단양읍촌(丹陽邑村) · 하선암(下仙巖) · 중선암(中仙巖) · 수일암(守一庵) · 유선대(遊仙臺) · 사인암(舍人巖) · 운암(雲巖) · 장회촌(長淮村) · 구담(龜潭) · 도담(島潭) · 풍수혈(風水穴) · 한벽루(寒碧樓) · 도화동(桃花洞) · 수옥정(漱玉亭) · 고산정(孤山亭) · 선유동(仙遊洞) · 탄금대 · 달천(達川) · 가흥(可興) · 손곡(蓀谷) · 법천(法泉) · 흥원창(興元倉) · 월악산 등이 서술되어 있다.
호남산수편에는 금골산(金骨山) · 덕유산 · 서석산(瑞石山 : 무등산) · 금쇄동(金鎖洞 : 대둔산) · 월출산(月出山) · 천관산(天冠山) · 달마산(達摩山) · 한라산 · 지리산 · 변산(邊山) 등의 명승명경이 기술되어 있다. 영남산수편에는 가야산 · 청량산(淸凉山)이 으뜸가는 명산으로 상세하게 서술되고, 도산(陶山) · 소백산과 상주의 사불산(四佛山 : 功德山이라고도 함.) · 옥산(玉山) · 빙산(氷山) · 태백산 · 금산(錦山) · 내연산(內延山) 등이 서술되어 있다.
관동산수편에는 금강산이 전체 내용의 3분의 1 정도에 걸쳐 상세히 쓰여 있고, 이 밖에 오대산 · 성류굴(聖留窟) · 한계(寒溪) · 설악산이 구분되어 설명되었으며, 화음산(華陰山) · 청평산(淸平山) 등이 나온다. 관북산수편에는 백두산을 비롯해서 칠보산 · 학포(鶴浦 : 원산의 명사십리) · 국도(國島) 등이 쓰여 있다.
이와 같이 이 책은 전국의 명산 명승을 골라 산 · 포(浦) · 대(臺) · 담(潭) · 사(寺) · 동굴 · 섬 · 곡(谷) · 누(樓) · 동천(洞天) · 정(亭) · 정(汀) · 진(鎭) 등 전국의 명경에 대하여 그 위치 · 형세 · 형승 · 고사 및 명인(名人)의 소거(所居) 사실 등을 설명하고 있다.
특기할 사항은, 산의 높이가 그 당시의 측량 사정으로 기록되지 못하였고 관북 · 관동 지방의 교통로가 불편한 명산이 제외되었다는 점, 강의 승경에서는 전체적인 기록이 없이 작은 범위의 승경을 취급한 점이다. 이 책은 금강산과 대동강 유역의 금수산에 역점을 두고 금수강산 명승의 부각에 주안을 두고 서술한 듯하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동국명산기≫ 사본 1책이 반환 유산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고, 성해응이 엮은 내용을 서유구(徐有榘)가 교사(校寫)하였으며, 1909년에 동경외국어학교 한국교우회가 간행한 인본(印本) 1책 51면이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