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송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문인, 유병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5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문인, 유병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25년경 손자 재순(載純)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인보(鄭寅普)의 서문과 권말에 이수기(李壽麒)·재순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부(賦) 1편, 시 55수, 소(疏) 1편, 서(書) 17편, 잡저 27편, 설(說) 7편, 논(論) 1편, 서(序) 3편, 기(記) 8편, 명(銘) 2편, 찬(贊) 3편, 제문 1편, 권3·4는 부록으로 사우증언(士友贈言)에 시 71편, 서(序) 4편, 기 2편, 명 1편, 만송절의비운(晩松節義碑韻) 73수, 만사 106수, 상의계안서(尙義契案序) 1편, 제문 15편, 가장(家狀)·행장·묘갈명·묘지명·수갈고유문(豎碣告由文)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의 「납세창덕궁소(納稅昌德宮疏)」는 당시 왜인들이 세금을 수탈하자 조세를 조정에 직접 바치면서 올린 상소로, 척일(斥日)의 정신이 잘 나타나 있다. 서(書) 가운데 「답곽면우종석(答郭俛宇鍾錫)」은 당시 고종의 총애를 입어 징사(徵士)가 되었으나 왜적을 철저히 배척하지 못한 곽종석을 규탄하는 내용이다.

잡저 가운데 「책오적(責五賊)」은 매국오적(賣國五賊)인 박제순(朴齊純)·이지용(李址鎔) 등의 죄목을 낱낱이 적은 성토문을 만들어 게시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은수변파록(恩讐辨破錄)」은 왜인이 주는 은사금(恩賜金)을 거절하면서 쓴 글이다.

이밖에도 헌병·경찰·총독부서기 등 일인들과 문답한 기록 10여종이 있다. 이 글들은 납세, 전지(田地)의 팻말, 묘적(墓籍), 주세(酒稅) 등의 왜법에 불복했다는 죄로 투옥되었다가 출옥한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집필자
박성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