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와집 ()

목차
관련 정보
묵와집
묵와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곽유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곽유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곽사영(郭士濚)의 편집을 거쳐, 1938년 곽재순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준필(宋浚弼)의 서문과 권말에 하겸진(河謙鎭)·김수응(金粹應)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권2에 서(書)·잡저, 권3에 서(序)·기(記)·발(跋)·명(銘)·잠(箴)·찬(贊)·상량문·축문·제문·행장, 권4는 부록으로 제가영시(諸家詠詩)·만사·제문·가장(家狀)·행장·묘갈명·묵와계첩서(默窩契帖序)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성종순(成鍾順)의 문목에 답한 것이 들어 있다. 천도(天道)·천명(天命)·이기(理氣)·심성(心性)·형질(形質)·재지(才知) 등에 대해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의 학설을 인용, 논설하고, 이 두 학설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자신의 견해를 서술한 것이다.

곽종석(郭鍾錫)에게 준 별록(別錄)은 예설에 관한 문답이다. 신주(神主)를 체천(遞遷)하고 신주를 고쳐 쓰는 일 또는 종손이 불의의 사고를 당하였을 때의 제주문제 등에 관해 김장생(金長生)·이황(李滉)·이이(李珥)·정구(鄭逑)·장현광(張顯光)·이상정(李象靖) 등의 예설을 참고해 자신의 견해를 붙인 것이다.

잡저의 「신언어절음식(愼言語節飮食)」은 말을 삼가고 음식을 절제해 먹으라는 내용의 논설이다. 「사설(師說)」은 스승이 있으므로 도(道)가 있다고 하지만, 직접 스승에게 배우는 것과 홀로 글을 읽어 사숙(私淑)하는 것이 모두 스승과 도를 믿는 데는 마찬가지라고 하면서, 도가 있는 곳에 스승이 있다고 논술한 글이다.

「중용문답(中庸問答)」은 『운곡집(雲谷集)』 중에 있는, 정조가 『중용』의 요지를 뽑아 문신들과 질의한 내용의 문답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21장에 걸쳐 해설 또는 평론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