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은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 학자 심상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0년대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간행 시기
1953년경
저자
심상연(沈相沇)
편자
심재복
권책수
4권 1책
판본
목활자본
표제
묵은집(默隠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전주대학교 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묵은집』은 조선 후기의 학자 심상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0년대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심상연은 경상남도 산청 지역에서 평생 유학을 연구하고 시문을 지은 학자이다. 이 책에는 곽종석, 김인섭 등을 비롯한 당대 영남지방의 학자들과 교유한 양상과 주희와 이황의 학문을 계승하고자 한 주자학자로서의 면모가 나타나 있다.

정의
조선 후기, 학자 심상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0년대에 간행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저자는 심상연(沈相沇, 1835~1900), 편자는 심재복(沈載福)이다. 저자의 자(字)는 회여(會汝), 호는 묵은(默隠), 본관은 청송이다. 경상남도 단성(丹城: 현,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의 묵곡(默谷)에 거주하여 호를 묵은이라 하였다. 해려(海閭) 권상적(權相迪), 단계(端溪) 김인섭(金麟燮), 학산(鶴山) 박상태(朴尙台) 등과 학문적인 교류를 하였다. 저자의 집안 친척이자 조선 고종(高宗)대와 대한제국기에 고위 관료를 지낸 심순택(沈舜澤)이 저자의 능력을 알아보고 벼슬살이를 강권하였지만 유학자로서의 삶을 고수하였다.

서지사항

4권 1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전주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저자의 손자 심재복이 편집, 간행하였다. 정규석(鄭珪錫)의 서문이 1953년에 지어진 것으로 보아, 그해에 간행되었거나 그로부터 몇 년 내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구성과 내용

권두에 정규석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저자의 아들 심종섭(沈琮燮)과 손자 심재복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82수, 만사(輓詞) 33수, 서(書) 21편, 서(序) 3편, 기(記) 4편, 설(說) 3편, 발(跋) 3편, 잠(箴) 1편, 명(銘) 5편, 찬(贊) 2편, 전(傳) 1편, 유사 3편, 권3·4는 부록으로 원운(原韻) 33수, 만사 122수, 제문(祭文) 4편, 가장· 행장(行狀)·묘지명·묘갈명· 묘표(墓表)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표현력이 풍부하고 관찰력이 예리하다. 「심(心)」·「성(性)」·「정(情)」·「성(誠)」·「경(敬)」 등은 학문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매화를 치(穉)·노(老)·분(盆)·미개(未開) 등 열 가지로 분류해 각기 다른 특성을 묘사한 「십매(十梅)」와 비를 화(和)·소(疎)·동(凍)·시(時) 등 열 가지의 형태로 분류해 그 특성을 읊은 「십우(十雨)」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자신이 거주하였던 묵곡의 여덟 가지 경관을 읊은 「묵곡팔경(默谷八景)」이 있으며, 주희· 이언적· 이황 등의 시에 차운한 작품도 남겼다.

서(書)는 주로 학문에 대해 논한 것으로 곽종석, 심순택, 심이택, 이도묵, 이절범, 조원순, 권상적, 박상태 등에게 보낸 것이다. 「상묵계이장(上默溪李丈)」·「여이희간(與李羲幹)」 별지 등은 경전과 상례 등에 대해 질의, 응답한 것이다.

「오봉민보안서(鰲峰民堡安序)」는 나라가 위태로워지자 주민들이 자위대를 조직, 마을을 자체적으로 수호할 것을 결의하고 마을 앞 오봉에 보루를 쌓아 적을 막을 계책을 세운 일의 전말을 기록한 것이다.

「오사설(吾師說)」에서는 스승을 만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경험에 의해 체득하는 것이 많은데, 그것은 곧 내가 나의 스승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학문의 향한 정성이 바로 스승의 길이라고 하였다.

이밖에 친구간의 지켜야 할 도리와 의리를 설명한 「우설(友說)」, 스스로 경계하기 위해 행동 규범을 정한 「자경잠(自警箴)」, 진주에 사는 이광점(李光漸)의 효행을 기록한 「효자이상사전(孝子李上舍傳)」 등이 있다.

의의 및 평가

19세기 영남의 재야학자가 맺은 교유의 한 양상을 보여주고, 경상남도 산청 묵곡의 여덟 가지 풍경을 읊은 시 「묵곡팔경(默谷八景)」은 그 소재만으로도 특색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곽종석, 『(한국문집총간)면우집(俛宇集)』 344 (한국고전번역원, 2005)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