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오집 ()

목차
관련 정보
몽오집 / 김종수
몽오집 / 김종수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종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종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연보 2권, 합 9권 3책. 활자본. 일찍이 정조가 근신(近臣)에게 명해 저자의 유고(遺稿)를 수집하게 했으나 실제 간행은 1910년 증손 직성(直性)에 의해 이루어졌다. 권두에 신응조(申應朝)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윤식(金允植)과 이재곤(李載崑)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시 133수, 권2에 소차(疏箚) 30편, 의(議) 2편, 권3에 의의(議義) 1편, 고사(故事) 3편, 권4에 서(書) 6편, 서(序) 8편, 기(記) 9편, 제발(題跋) 22편, 잡저 1편, 권5에 제문 8편, 애사 7편, 권6에 비명(碑銘) 4편, 묘갈 5편, 묘표 12편, 권7에 묘지 4편, 행장 1편, 시장(諡狀) 3편이 있고, 이어 연보가 권 1·2로 나누어져 수록되어 있다.

저자는 시문이 뛰어나 규장각제학으로 오래 봉직한 탓으로 공거문(公車文)과 관각문(館閣文)이 이 책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소차는 벽파(僻派)인 저자가 정적(政敵)들을 공격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또한 군제(軍制)와 세제(稅制) 등에 관한 내용도 있다.

의의인 「춘궁시강일기(春宮侍講日記)」는 1768년(영조 44) 6월 15일부터 1770년 1월 10일까지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있을 때 쓴 일기이다. 주로 중국과 역사에 관한 내용이다.

고사 가운데 「경연고사(經筵故事)」는 입지(立志)·진학(進學)·극기(克己)·납간(納諫)·사천(事天)·사민(事民) 등 18개 조목으로 나누어 설명한 글이다. 「규장각고사」는 규장각에 대한 여러 가지 사실을 적은 것이다.

잡저의 「솔옹문답(率翁問答)」은 은거해 있을 때 쓴 글로, 자신의 정치적 처지를 밝히고 있다. 「연보」에는 경연에서의 문답 내용과 영조·정조와 함께 시정(時政)을 논한 일, 그가 규장각의 현판을 쓴 사실 등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곽신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