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헌문집 ()

만헌문집
만헌문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정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85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정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8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685년(숙종 11)에 정염의 후손 정석구(丁錫龜)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송환기(宋煥箕)의 서문과 권말에 정석구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활자본.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1에 부(賦) 2편, 시 150수, 권2에 책(策) 1편, 소 3편, 서(書) 6편, 잡저 5편, 서(序) 2편, 기 3편, 발(跋) 3편, 명 2편, 전(箋) 1편, 장(狀) 1편, 권3에 상량문 3편, 축문 6편, 고문(告文) 4편, 제문 18편, 비문 1편, 묘갈명 1편, 묘지명 4편, 행장 1편, 전(傳) 1편, 권4에 부록으로 세계(世系), 만사 13수, 제문 5편 및 묘지·행장·유사·사적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형식은 오언절구와 칠언절구의 근체시(近體詩)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차운(次韻)과 영물(詠物)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우국원풍년(憂國願豊年)」은 애국애민의 사상을 표현한 것이다. 「조호지목난(鳥呼知木暖)」은 숲 속에서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를 마치 봄이 왔음을 환희하는 것으로 우의(寓意)하며 계절적 정서를 읊은 작품이다.

「희우(喜雨)」에서는 오랜 가뭄 끝에 내린 비로 인해 초목들의 생기 있는 모습을 예찬하며 하늘의 은총에 고마움을 표현하였다. 이 밖에 「독역계몽(讀易啓蒙)」·「독서지파심사(讀書只怕尋思)」·「위학변요성인(爲學便要聖人)」 등 독서 또는 학문적인 감회를 읊은 시가 관심을 끈다.

책에서는 국가의 흥망성쇠가 인재등용에 달려 있음을 역설하였다. 소의 「회재신원소(晦齋伸寃疏)」는 이언적(李彦迪)의 신원을 건의한 것이다. 「호남유생자명소(湖南儒生自明疏)」는 동인(東人)들이 최영경(崔永慶)의 옥사를 문제 삼아 이미 죽은 성혼(成渾)과 정철(鄭澈)을 탄핵하자 호남유림을 대표해 이를 변호한 상소문이다. 특히 성혼은 처음부터 옥사에 관여한 일이 전혀 없으니 무고임에 틀림없다고 강력히 주장하였다.

서(書)의 「답신부사(答辛府使)」는 오래 누적된 폐단으로 백성들의 불만이 많다고 지적하며, 대동법이 편리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잘 시행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개탄하고 그 시행을 격려하는 내용이다. 이 밖에 잡저의 「호천장문(犒天將文)」은 임진왜란 때 싸운 명나라 장수의 공적을 치하한 내용으로 그 문장이 훌륭하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