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형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박사형의 시 · 제문 · 잡저 · 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박사형의 시 · 제문 · 잡저 · 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다. 국사편찬위원회에 있다.

권1에 시 55수, 제문 26편, 잡저 3편, 권2에 행장 10편, 묘지 1편, 묘갈명 1편, 묘표 3편, 장첩(壯帖) 2편, 서(書) 26편, 유계(遺誡) 1편, 부록으로 묘표 1편, 유사(遺事)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자연을 인간 생활에 흡수시켜 읊은 서정시가 많다. 특히 「경차자면운(敬次自勉韻)」에서는 학문을 산에 오르는 것에 비유해 스스로의 노력과 결심을 나타내었다.

잡저의 「일성록(日省錄)」에서는 실천 규범에 대해 매자순성(每自循省)·선절이심(先絶利心)·사우택경전(師友擇經傳)·독서입기본(讀書立其本)·자량경중(自量輕重)·예욕간이(禮欲簡易)·행지전일(行止全一)·권의시변(權宜時變)·신독(愼獨)·불천노(不遷怒) 등으로 분류해 논하였다.

「학규기략(學規記略)」에서는 학과(學課)의 규정을 심지(心志)·기상(氣像)·언어(言語)·동지(動止)·제행(制行)·처사(處事)·접인(接人)·독서(讀書) 등으로 구분해 정한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서윤창평(書尹昌平)」은 저자의 증조부 세당(世堂)이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해 주자학(朱子學)을 비판하고, 독자적인 견해를 발표함으로써 사문난적(斯文亂賊)의 낙인이 찍혀 관을 삭탈당한 후 얼마 안 되어 이인엽(李寅燁)의 상소로 신원되었는데, 그 뒤 호남의 유림들이 변무소(辨誣疏)를 올려 다시 처벌할 것을 주장하자, 사림의 공적인 거사에 간섭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손으로서 후환이 일어날까 염려되어 그 경위를 서술한다는 내용이다.

이밖에 「논사(論史)」와 「유계(遺誡)」 등 경전(經典)·훈고(訓詁)에 대한 논술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17세기의 정치적·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집필자
이명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