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대환공부설 ()

목차
과학기술
개념
해 · 달 · 지구가 하늘에 떠있으며 지구도 달처럼 회전한다는 조선시대의 우주론. 삼환설.
이칭
이칭
삼환설
목차
정의
해 · 달 · 지구가 하늘에 떠있으며 지구도 달처럼 회전한다는 조선시대의 우주론. 삼환설.
내용

해·달·지구의 커다란 세 둥근 것(三大丸)이 하늘에 떠 있다는 뜻으로 김석문(金錫文)의 주장이다. 1697년(숙종 23) 그가 지은 『역학도해(易學圖解)』에서 그는 이런 생각을 밝혔지만, 이 책 자체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이 주장을 유명하게 만든 사람은 박지원(朴趾源)이다. 1780년(정조 4) 중국을 다녀와 쓴 그의 기행문 『열하일기』 태학유관록(太學留館錄)에서 그가 중국 학자들과 담화하는 가운데 김석문의 삼대환공부설을 소개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서 박지원은 중국 학자들에게 그의 친구 홍대용(洪大容)이 지구가 하루에 한 번씩 자전한다는 주장을 처음으로 내놓았다고 말하면서, 김석문의 설도 함께 소개한 것이다. 박지원은 둥근 땅덩어리가 해와 달이나 마찬가지로 하늘에 떠 있다고 생각한 사람은 김석문이고, 그 지구가 자전한다는 생각은 홍대용이 처음 한 것으로 말하고 있다.

그러나 1726년(영조 2)에 쓴 김석문의 『역학이십사도해(易學二十四圖解)』에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고, 지구를 둘러싼 여러 하늘은 제일 바깥의 하늘이 정지하고 있을 뿐, 중심으로 갈수록 빨리 회전한다고 써서 지구의 자전을 말하고 있다.

김석문은 1697년 삼대환공부설을 주장했고, 늦어도 1726년까지는 지전설까지도 말하고 있었던 것이다. 김석문의 삼대환공부설은 지구의 자전까지를 함축한 이론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는 이런 생각을 전통적 역학(易學)의 이론으로 재구성하고 있어서, 그의 이론이 얼마나 당시 알려지고 있던 서양천문학의 영향을 받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참고문헌

『열하일기(熱河日記)』
『한국과학기술사(韓國科學技術史)』(전상운, 정음사, 1976)
「17세기(世紀) 이조학인(李朝學人)의 지동설(地動說) -김석문(金錫文)의 역학(易學) 24도해(圖解)-」(민영규, 『동방학지』16, 1975)
집필자
박성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