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촌집 ()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경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4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미상
간행 시기
1936년
저자
이경창(李慶昌)
편자
이의남(李義男)
권책수
불분권 1책
권수제
서촌집(西村集)
판본
석인본(石印本)
표제
서촌집(西村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서촌집』은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생존한 학자 서촌 이경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은 문집으로, 1644년에 간행되었다. 천문학 연구 자료 및 태극·삼재·인간 등에 관한 형이상학적인 주역 연구 자료 등이 실려 있기 때문에 조선 중기 때의 천문학과 철학적 수준을 살펴보기에 적당한 문집이다. 불분권 1책의 석인본으로 간행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돼 있다.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경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4년에 간행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저자 이경창(李慶昌, 1554~1627)의 자는 언급(彦及), 호는 서촌(西村), 본관은 문의(文義), 출신지는 개성(開城)이다. 아버지는 이양세(李揚世)이고, 어머니는 한흠종(韓欽從)의 딸 비인한씨(庇仁韓氏)이다. 어려서는 아버지로부터 『소학』을 익혔으며, 12세부터 외조부로부터 철리(哲理)에 대한 가르침을 받으면서 문사(文詞)를 일삼지 않았다. 훗날 서경덕(徐敬德)을 마음의 스승으로 삼아 경전(經典) · 성리학(性理學)을 비롯해 『주역』 연구에 특히 심취했다. 손수 ‘혼천의(渾天儀)’라고도 불리는 ‘선기옥형(璿璣玉衡)’을 제작해 탐구한 후, 그 이치와 제도를 설명할 정도로 천문학에 관심이 높은 천문학자이자 철학자이다.

편자는 저자의 아들 이의남(李義男)이다.

서지사항

불분권 1책의 석인본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1644년(인조 22) 저자의 아들 이의남이 간행했고, 1936년 중간되었다. 권두에 강현자(姜鋧子)의 서문과 이학로(李學魯)의 중간서가 있다. 중간본은 이희대(李熙垈)가 개성부(開城府)에 있는 전의이씨옥계공파세보소(全義李氏玉溪公派世譜所)에서 발행했다.

구성과 내용

설(說) 3편, 사(辭) · 훈계서(訓誡書) · 역괘효통례(易卦爻通例) · 행장(行狀) · 묘갈명 · 서(序) · 발(跋) 각 1편이 실려 있다.

「원이기설(原理氣說)」에서는 태극이 형성된 과정, 이 · 기의 분화, 인류의 생성과 만물의 발전, 기우(奇偶)의 수리(數理), 형기(形氣)의 발전, 형이상적인 견지와 형이하적인 직관 등에 관해 설명하였다.

「천인설(天人說)」에서는 천 · 지 · 인 삼재(三才)가 갖고 있는 고유한 수를 제시하여 대연수(大衍數) 55와 64괘(卦) ·384효(爻)의 근원이 됨을 강조하면서, 하늘의 도는 음과 양이며, 땅의 도는 유와 강이 되고, 사람의 도는 로서 모두 각기 태극의 원리를 함유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주천도설(周天圖說)」은 『송도지(松都誌)』에도 보이는 글로서, 건(乾)과 천(天), 곤(坤)과 지(地)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설명하였다. 하늘의 주위는 북극을 중심으로 365도로 나누어지며, 북쪽은 높고 남쪽은 낮으며, 365일 만에 일주회를 하기 때문에 1년이 365일이 됨을 강조하고, 사립(四立) · 사지(四至) 때의 해의 위치와 장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자경사(自警辭)」에서는 인간은 하늘과 땅의 정기로써 부모의 정과 혈을 빌려 태어났기 때문에 자기의 몸을 바로 지키지 못하면 하늘의 뜻에 위배된다고 하였다. 이밖에도 자손들을 경계한 「훈계서」, 『주역』의 괘효를 해석한 「역괘효통례」 등이 있다.

권말에는 저자에 대해 김천정(金天挺, 16441687)이 찬한 행장과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 엄집(嚴緝, 16351710)이 찬한 묘갈명이 있다. 행장과 묘갈명을 통해 저자가 외조부 한흠종으로부터 『대학』의 격물성정지공(格物聖正之工)을 비롯해 수신제가지도(修身齊家之道) 등을 익히고 스스로 일가(一家)를 이룰 정도로 학문에 전념한 사실, 주역에 심취한 사실, 서경덕의 학문을 흠모한 사실, 천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조선시대에 찾아보기 힘든 천문학자이자 철학자가 남긴 글을 통해 당시 천문학의 수준은 물론 태극 · 삼재 · 인간 등에 관한 형이상학적 논설을 많이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은영(성균관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