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암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재령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재령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2책. 목판본. 1930년에 아들 능헌(能憲)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영(張錫英)의 서문과 권말에 서규석(徐奎錫) 및 종질(從姪) 능서(能序)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37수, 서(書) 11편, 잡저 6편, 서(序) 5편, 기(記) 6편, 축문 1편, 제문 13편, 명(銘) 1편, 전(傳) 1편, 비(碑) 1편, 권3은 부록으로 가장(家狀) 1편, 묘갈명 1편, 행장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 「영화수미운(詠花首尾韻)」 10수는 14세 때의 작품으로 문사(文思)가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조화옹(造化翁)의 현묘한 이치를 일찍이 탐구했던 것이 잘 나타나 있다. 「답사희서(答士熙書)」에서는 『중용』의 서문에서 말한 허령지각(虛靈知覺)은 바로 마음의 이치라고 풀이하였다.

잡저인 「월광변(月光辨)」에서는 달[月]의 영휴(盈虧)·삭망(朔望)·일식(日食) 등의 원리에 대해 논하였다.

「역학기견석의(易學記見釋義)」는 역학에 대한 견해를 밝힌 것이다. 먼저 설괘전(說卦傳)과 입괘사(立掛辭)로 팔괘(八卦)가 생기게 된 원인을 분명히 밝히고, 태극과 삼음삼양(三陰三陽)과 방위의 변천하는 과정을 도시(圖示)하면서 1변에서 6변까지를 순차적으로 설명하였다.

「역설(力說)」은 위의 논설에 대해 보충 설명한 것이다. 『주역』 전체에 대한 내용과 64괘의 변화와 그 원리 등을 선유의 학설과 자기의 견해를 조화시키면서 풀이하였다. 이러한 논설은 『주역』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이기권여록(理氣權輿錄)」은 이기에 대한 학설을 총망라한 것이다. 이기와 관련이 있는 천지·일월·음양·오행·태극 등에 대해 설명하고, 이기와의 관계에 대해 논술하면서, 이기는 원리와 작용의 표현이라고 주장하였다.

집필자
김신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